17,18세기의 조선중화는 청의 야만적 패권에 대항해서 생겨난 산물이다. 조선중화는 중화문화에 대한 문화적 자신감을 가지고 붕괴된 중화를 계승하는 주체로 자임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조선중화는 부조리한 세계 속에서 중화의 이상과 주체의 욕망을 재구성해낸 관념 속의 존재였다. 현실에서 조선은 중화문화의 주체도 될 수 없었고, 능동적으로 중화문화를 활용해서 자신을 실현해 나가는 주체성도 가지지 못하였다. 중화가 붕괴된 뒤에도 조선은 여전히 중화의 문화와 질서를 고수하였고 그것을 의리라고 생각하였다. 존주론과 대명의리론이 근거하는 춘추대의(春秋大義)는 존주양이(尊周攘夷)의 배타성과 위계성을 정명(正名)의 윤리로 보편화한 도덕논리였다. 조선중화주의는 중화를 절대적 표준으로 추종하면서 조선의 고유성이나 특수성을 억압하였고, 관념 속의 주(周)와 명(明)의 중화에 종속되었다. 조선중화는 중화문화를 수용한 조선을 의미한다기보다, 자신의 고유성마저 극복해야 할 이적의 흔적으로 여겨서 완전한 중화가 되기를 바랐던 기만적 주체였다. 사라진 중화에 대한 의리는 관념 속의중화에 충성하도록 하였고, 기만적 주체성은 현실에서 자기 자신과 주변 세계로부터 스스로를 소외시켰다. 조선중화 담론을 주도한 주체는 현실 속에 있는 권력이었다. 왕실과 노론은 정통성과 권력을 강화하는데 존주양이와 대명의리의 도덕의리를 활용하였다.
The Sinocentrism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is a product of opposition to the barbaric hegemony of the Qing Dynasty. With cultural pride in the Chinese culture, ideologists of Sinocentrism in Joseon boasted that it inherited the collapsed the Chinese empire. But in actuality, Sinocentrism in Joseon was merely a concept that reconstituted the ideals of Sinocentrism and the desire of the subject in an irrational world. In reality, Joseon could not be a subject of Sinocentrism and did not possess the subjectivity factor to achieve self-realization by actively engaging in Sinocentrism. Even after the collapse of Sinocentrism, Joseon adhered to the former``s culture and order, and regarded this as loyalty. Chunchudaei(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on which Jonjuron (respect for the Zhou Dynasty) and Daemyeongeuiri (loyalty to the Ming Dynasty) are based, was a moral logic that generalized the exclusivism and hierarchy of Jonjuyangi (the ideology that demands admiration to the Zhou Dynasty and ostracism of the barbarians) with the principle of Jeongmyeong (rectification of names). Sinocentrism in Joseon treated Sinocentric ideology as the absolute standard, suppressed the originality or the uniqueness of Joseon, and was subordinate to the Sinocentrism of the Zhou and Ming Dynasties. Sinocentrism in the Joseon Dynasty did not indicate Joseon embracing Sinocentric culture, but rather, implied that it was a deceptive subject that overthrew its own uniqueness and wished to be part of China. The loyalty to the disappeared Chinese empire made Joseon faithful to the notional China, and the deceptive subjectivity isolated Joseon from the actual Joseon and its neighboring world. It was the authorities in reality that led the Sinocentrism discourse. The royal family and Noron (ruling elites) used Jonjuyangi and Daemyeongeuiri to consolidate its power and legitim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