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7.167.39
3.17.167.39
close menu
}
KCI 등재
육가(陸賈)의 정치사상(政治思想)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olitical Thought of Lujia
조원일 ( Won Il Cho )
동서철학연구 79권 43-64(22pages)
UCI I410-ECN-0102-2017-150-000083136

진나라시기의 폭압에 의한 통치의 전철을 또다시 밟지 않기 위하여 육가는 무위의 주장을 가장 먼저 제기하여 이를 한나라 제왕들의 치국의 원칙으로 삼고자 했던 것이다. 육가가 주장한 무위는 이미 원시도가의 사상과는 다른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한다면 이는 유가와 도가의 사상을 종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육가는 민심을 얻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형벌을 가볍게 하고 백성들을 번거롭게 하지 않는다고 하는 정책 외에 더욱 중요한 것은 군주 자신이 직접 모범을 보이는 것에 있다고 했다. 육가는 군주가 덕으로 백성들을 교화시켜서 통치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군주 자신의 행위는 삼가고 경건해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므로 군주는 반드시 도덕적이어야 하는데, 이러한 도덕의 구체적인 내용은 바로 인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육가는 교육이 사회를 안정시키고 사회의 질서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에 대하여 깊은 신뢰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육가는 덕치를 언급하면서 현명한 인재를 발탁하여 임용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이처럼 육가의 덕치사상은 군주가 스스로 모범을 보여서 백성들을 통솔하는 것 외에도 자기수양ㆍ교육ㆍ현명한 사람을 존중한다고 하는 것 등의 풍부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그의 덕치사상은 유가의 색채가 매우 농후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To prevent Qin dynasty``s iron-fisted rule, Lujia emphasized Wuwei for principle of governing of Han dynasty. The Wuwei is different from thought of early Taoism. That is synthesis of Confucianism and Taoism. To win the confidence of people, Lujia took much more not only little punishment but also monarch``s good example. Lujia insisted virtue of monarch enlightening on the people and piety of monarch. Therefore monarch must have morality of Len Yi. That is to say, Governing morality of Lujia involves thought of Confucianism. Also he trusted in function of education for stability, maintenance order at society. Besides he thought that selection of fit persons for higher positions is very important referring to the governing morality. In this way, his the governing morality thought involved not only governing through a good model of monarchy but also self-discipline, education and respect of wise man. Therefore his governing morality thought may well be for Confucianism.

1. 序  言 
2. 무위의 숭상
3. 덕치의 제창
4. 結  語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