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에서 촉각식검은 검파두식 형태에 따라 쌍취형과 쌍조형으로 나뉘고, 검신 재질에 따라 동검과 철검으로 나뉜다. 쌍취형 촉각식검은 중국 서북지역에, 쌍조형 촉각식검은 중국 동북지역부터 한반도와 일본의 북부구주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쌍취형 촉각식검은 새 부리가 서로 마주 보는 형태의 부리형과 동그랗게 말린 고리형으로 구분되며, 쌍조형 촉각식검은 새의 머리 부분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은 간략형과 새의 머리까지 사실적으로 표현된 사실형으로 나누어진다. 본고에서는 이 가운데 쌍조형 촉각식검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검병과 검신을 별도로 형식분류하고, 양자를 결합하여 종합적인 형식분류를 시도하였는데, 검병과 검신의 형식변천이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형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에 대한 연구 및 공반유물에 대한 연구 성과들을 종합해 보면, 쌍조형 촉각식검은 기원전 3세기경에 중국 동북지역에서 발생하여 한반도와 일본까지 파급된 것으로 생각된다. 쌍조형 촉각식검의 변천과정은 크게 3기로 구분할 수 있다. Ⅰ기는 발생기로 중국 동북지역의 변형비파형동검문화권에서 쌍조형 검병이 변형비파형동검의 검신과 결합하면서 일체쌍조형 촉각식동검으로 등장한다. Ⅱ기는 파급기로 중국 동북지역에서는 일체쌍조형 촉각식동검이 이어지고 촉각식철검이 등장하며, 한반도와 일본에서는 조립쌍조형 촉각식동검과 촉각식철검이 등장한다. Ⅲ기는 쇠퇴기로 중국 동북지역에서는 촉각식검이 더 이상 확인되지 않고, 한반도에서만 확인된다. 따라서 쌍조형 촉각식검은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2세기까지 중국 동북지역부터 한반도와 일본의 북부구주에 이르는 지역에서 유행한 것을 알 수 있다.
The antenna-shaped daggers found in East Asia a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twin-bird-beak type and the twin-bird type. These artifacts were used in combination with bronze and iron swords. The twins-bird-beak type is distributed in northwestern China, whereas the twin-bird type is distributed in northeastern China, northern Kyushu in Japan, and Korea. The twin-bird-beak type is further divided into two sub-types: daggers with bird-facing shape and cyclic shape. The twin-bird type is also divided into two sub-types: the simplified bird-head shape and the realistic bird-head shape. This paper focuses on the twin-bird type and classifies them based on the shapes of dagger handles and bodies. An examination shows that the shapes of dagger handles and bodies changed simultaneously over time.The twin-bird type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Phase I is the time when this artifact first emerged in northeastern China where the tradition of the so-called Liaoning-style bronze daggers continued. Phase II witnessed the spread of this artifact across East Asia. Finally, Phase III is the declining stage, and the daggers were no longer made in China but only in Korea. This study shows that the center of the twin-bird type antenna-shaped daggers shifted from northeastern China to Korea over the period of the third century BC to the second century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