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68
18.97.9.168
close menu
Accredited
이청준 소설에 드러난 금기와 용서의 아포리아
Aporia of Taboo and Forgiveness in Lee Chung-jun`s Novels
최현주 ( Hyun Joo Choi )
UCI I410-ECN-0102-2017-800-000084765

언표화된 담론의 질서로서의 금기의 기원과 기능을 한국소설사에서 일찍부터 포착해낸 이가 바로 소설가 이청준이다. 이청준 소설의 주요한 탐구대상은 한국 현대사회에서 작동하는 금기의 생성과 조직, 배치와 재생산에 대한 것들이었다. 그는 현실 공간에서 당대의 지배 권력과의 직접적 투쟁의 형태가 아니라 간접화된 문화양식으로서의 소설쓰기를 선택하여 현실 권력과의 가시적인 대결이 아니라 보다 근원적인 언어혹은 예술의 장에서 치열하게 금기와의 싸움을 수행해나갔다. 이청준 문학이 금기에의 저항과 쟁투였다고 한다면 그러한 금기와의 싸움은 언어와 담론의 질서에 대한 치밀한 탐구로부터 출발하였다. 즉 그의 소설이 언어로부터 시작해서 언어로 끝난다는 발화는 이청준 소설의 경계와 지평을 제대로 표상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그의 언어에 대한 집요한 탐구는 언어사회학 연작뿐만 아니라 그의 모든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변주된다. 결국 이청준은 자본주의 사회의 폭력성을 극복할 대안으로 언어를 매개로 한 소설 혹은 예술을 상정하고 미적 근대성을 구현하려했다. 이청준의 예술가 소설이 지향한 것은 패배와 복수,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을 넘어서는 것이었다. 그것의 궁극은 예술을 매개로 한 시대와의 화해와 용서였다. 그런 점에서 예술가소설에 나오는 패배한 예술가들은 타락한 시대에 대한 패배자로서의 복수를 지향한 것이 아니었다. 근대 사회의 금기 체계에 저항하기 위한 거점으로서 예술의 세계를 발견했던 이청준이 직접적인 대결과 저항이 아닌 화해와 용서로 나아간 점은 어떤 개념과 직관으로도 포착하기 어려운, 하나의 객관적인 총합으로 환원되지 않는다는점에서 아포리아적이다.

It was the novelist Lee Cheong-jun that grasped the origin and functions of taboo as the order of locutionary discourse early in the novel history of Korea. In his novels, he focused his inquiry on the creation, organization, arrangement and reproduction of taboos that were working in modern Korean society. Instead of engaging in direct struggle with the ruling power of the times in real space, he chose to write a novel as an indirect style of culture and had fierce fights against taboos in the more fundamental linguistic or artistic venues rather than visible face-off with the real power. His literature presented his resistance and struggle with taboos, and his fights against taboos began with his minute inquiry into the orders of language and discourse. That is, the saying "Lee``s novels start and end with language" represents the boundaries and horizons of his works correctly. His persistent inquiry into language was in repeating variations across all of his works as well as the series Sociolinguistics. In the end, he introduced language-mediated novel or art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violence of capitalist society and tried to embody aesthetic modernity. In his artist novels, he was oriented toward a place beyond the dialectic between defeat and revenge and between the master and slave. Its ultimate point was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with an era via art. In that aspect, the failing artists in his artist novels did not seek evenge as losers in the degenerate days. Lee, who discovered the world of art as a base of resistance against the taboo system of modern society, moved toward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rather than direct confrontation and resistance, which is some sort of aporia in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with any concept and intuition and cannot be reduced to a single objective sum.

Ⅰ. 금기와 위반의 역설
Ⅱ. 소설의 기원으로서의 금기와 반외디푸스
Ⅲ. 금기에 대한 언어사회학적 탐구
Ⅳ. 예술가소설의 지향으로서 금기의 초극
Ⅴ. 금기를 넘어선 용서의 아포리아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