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29.217.232
3.129.217.232
close menu
}
KCI 등재
접경지역의 지오투어리즘(Geotourism)과 지오빌리지네트워크(Geo-Villages Network)에 관한 연구 -강원도 철원군을 중심으로-
A Study on Geotourism and Geo-Villages Network of the Border Region in Gangwon Province
김창환 ( Chang Hwan Kim ) , 정해용 ( Hae Yong Jeong )
경관과 지리 26권 1호 35-48(14pages)
UCI I410-ECN-0102-2017-980-000085005

접경지역은 남북분단의 특수한 상황아래 법으로 지정된 군사적 접적지역으로 각종 규제 및 불이익으로 인하여 타지역에 비해 낙후된 지역이다. 접경지역 발전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관광산업 중 대표적인 안보관광은 남북관계 및 국가 안보, 정책 변화 등 직ㆍ간접적인 영향에 의해 제한되거나 통제되어 왔다. 이에 지속가능한 대안관광으로서 지오투어리즘의 적용 및 지역공동체 회복의 새로운 대안으로 지오빌리지를 중심으로 한 농촌 지오투어리즘을 고찰하였다. 또한 농촌 지오투어리즘을 활성화하기 위해 농촌 마을 간 연계, 즉 지오빌리지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지오빌리지 네트워크는 마을 간 단순 교류가 아닌 서로 다른 문화적 범위 내에서 공통적인 요소인 지질공원 및 지오투어리즘을 통해 마을간 인적ㆍ물적 교류협력의 한 방안이 된다. 나아가 지오빌리지 네트워크는 교육, 문화, 관광상품, 방문객 상호 홍보 및 유치 등 지오빌리지간 공생ㆍ공영하는 관계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감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룰 수 있는 마을 상생 발판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border region is special region designated by laws under special situations arising from nation’s division and is a backwater region lagging behind other regions. Security tourism, which is the most typical in tourism industry serving as a backbone of border region development, has been limited or controlled through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South-North Korean relationship, national security, policy change, etc. We examined the rural geotourism with a focus on geo-villages as a new solution for application of geotourism and restoration of community as sustainable alternative tourism. Moreover, we presented the need for linkage among rural villages, i.e., geo-villages network to promote stimulation of rural geotourism. Geo-villages network promotes cooperation on human and materials exchange among villages through geopark and geotourism which are common elements within different cultural boundaries, rather than simple exchange among villages. Furthermore, geo-villages network can lay groundwork for co-existence of geo-villages by helping sustain co-existential and co-prospering relationship, such as mutual promotion of education, culture, tourism commodities, attraction of tourist, etc., which is conducive to revitalizing local economy.

1. 서론
2. 지오투어리즘과 지오빌리지
3. 지오빌리지 네트워크 활동(GVN)과 농촌 지오투어리즘
4. 결론 및 논의
5. 결론
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