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Accredited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실외신체활동이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utdoor Physical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Basic Physical Fitnes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Ego-resilience
이혜민 ( Hyemim Lee ) , 최일선 ( Ilsun Choi )
UCI I410-ECN-0102-2017-370-000085558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실외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G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52명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실험집단은 9주 동안 매주 2회 총 18회 기초체력 증진을위한 실외신체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생활주제중심의 실외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실외신체활동을 실시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하위요인인 몰입, 건강, 영성, 또래관계, 교사관계, 인지 및 성취, 정서, 생활만족에서 통계적으로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실외신체활동은 자아탄력성전체와 하위요인인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실외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을 증진하는데 의미 있는 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outdoor physical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basic physical fitness affects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ego-resilience. The subjects were 52 five-year-old children at kindergarten in Gyeonggi Province.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outdoor physical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basic physical fitness was implemented 18 times for 9 weeks. For the comparative group, the general outdoor activities were implemen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verage score in the 8 subfactors of happiness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verage score in the 3 subfactors of ego-resilience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se results implied that outdoor physical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basic physical fitness could b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o enhance on children`s happiness and ego-resili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