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누가 공부를 잘하고 누가 공부를 잘 못하는가? -학업성취와 관련된 지능, 기질 및 성격 특성에 관하여
Who Is Doing Well in School and Who Is Not?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chievement, Intelligence, Temperament, and Character
오현숙 ( Hyunsook Oh )
UCI I410-ECN-0102-2017-370-000085598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성격(personality) 개념을 기질(temperament)과 성격(character)으로 나누어 지능, 기질, 성격, 성적의 관계를 조사 하였으며 학업성취 및 학업부진 집단과 관련된 지능과성격의 구조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남녀 학생 280명(남=117, 여=163)이 기질 및 성격검사 TCI의 청소년용과 진단성 지능검사 및 자기보고식 성적등급에 의해 조사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로서 지능은 성격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지능지수인 IQ는 위험회피와 부적으로, 인내력 기질 및 자율성 성격과는 정적으로 매우 유의한상관을 나타냈다. 군집분석을 통해서 연구대상들의 성적, 지능, 기질 및 성격적 특성의 유사성에따라 총 5개의 집단이 구분되었는데 이 5개 집단은 도합 4개의 기질 특성과 3개의 성격특성 및9개의 지능특성에서 모두 유의하게 평균차이가 있었다. 대표적으로 고지능-고성취 집단은 중간지능-저성취의 집단에 비해 사회적 민감성 그리고 인내력 기질 성향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위험회피 성향이 유의하게 낮았고 자기초월 성격 성향 또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결과에서 얻은 결론은 지능, 기질 및 성격은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관련되며 특히 위험회피 기질이 지능과 상호작용하면서 공부를 잘하거나 못하는 것과 관련된다는 것이다. 연구결과는선행연구들과 함께 논의되었으며 연구 제한점이 제시 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chool achievement, intelligence, temperament, and character, and determine whether school achievement and school slump are distinguishable through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factors. A total of 280 middle school students (male = 117, female = 163)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y completed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JTCI) and an intelligence test battery and questionnaires about their school record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factors: IQ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negatively with harm avoidance and positively with persistence and self-directedness. A cluster analysis produced five types of school achievement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ination of high or low IQ and school records They were differentiated significantly from each other through every four temperament and three character factor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groups, high I(Intelligence)-high A(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 novelty seeking, high reward dependence, high persistence, low harm avoidance, high self-directedness, and high self-transcendence as compared to middle I-low A. The group low I-low A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other groups in showing the highest harm avoidance. Furthermore, the best I-worst A group-i.e., the typical school slump group-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groups, as this group obtained the lowest novelty seeking and harm avoidance scores. The paper discusses the outcomes in light of the educational counseling and training for school achievement and school slump, and the research limitat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