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후보
중앙아시아 유학생들이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요인 연구
Analysis on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Central Asian Students in South Korea
이미정 ( Mijung Lee ) , 우루쿤치에브아들백 ( Urkunchiev Adylbek ) , 박수정 ( Soojung Park ) , 아이고자에바아이게림 ( Aigozhayeva Aigerim )
교육문화연구 21권 5호 283-307(25pages)
UCI I410-ECN-0102-2017-370-000085765

본 연구는 재한 중앙아시아 유학생이 경험하고 있는 한국에서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요인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앙아시아 출신 유학생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인터뷰와 전화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아시아 유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습관의 차이, 의사소통의 어려움, 가치관의 차이 등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문화적 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한국의 ``빨리 빨리`` 문화를 따라가기 어렵다고 했다. 이들이 유목문화권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느린 속도에 익숙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나이, 지위에 따라 다른 한국의 인사법과 의사소통 방법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한국 사람들이 가족보다 일과 돈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그리고 문화 충격, 두려움, 향수병 등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한국 사람들이 소리를 내며 식사를 하거나 짧은 옷을 선호하는 옷 스타일을 보며 문화 충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싼 물가 때문에 경제적 두려움을 겪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플 때와 문화 충격을 받았을 때 고향과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이 더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이러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 사람들과 계속적인 접촉을 하거나, 새로운 문화를 알아가기 위하여 질문을 하는 등 적극적인 대처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문화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중앙아시아 유학생들이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요인을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안정적이며 적극적인 유학생활을 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way the Central Asian students residing in Korea are dealing with stress in Cultural Adaptation, and the influence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has on them. Five students from Central Asian countries were selected, with who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influence of their cultural adaptation stress was analys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the Central Asian students is: first, it is difficult to keep up with the "quickly quickly" culture. Second, they experienced difficulty in greeting people based on the difference in age and position. Third, the difference in values showed that Koreans think of work as more important than family. Fourth, they received culture shock from Koreans making noises while chewing their food and eating quickly, the types of clothes they wear. Fifth, they said they had financial fear due to high prices in Korea. It was revealed that they experience homesickness and miss their parents when they get sick and receive culture shock.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ethod to successfully and effectively overcome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was presented. It is believed that with the help of this study Central Asian students can solve the problem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lead a stable and active life as a student in South Kore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