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수준에서 학생 선발의 문제는 국가, 사회, 대학, 개인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으며, 어떤 특성을 지닌 학생을 유입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대학생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으로 진학한 이후 실로 많은 변화와 요구에 직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대학 생활에 부적응하는 학생들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 여부에 관심을 가지고 요인이나 적응과정을 밝히는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에 따라 학생들의 대학 생활적응 양상이 달라지는가를 규명한 연구는 미흡하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대학이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에 따라 대학생의 학교 생활 적응 수준에 차이가 나는가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수도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 재학생 183명의 설문 응답결과를 토대로, one-way ANOVA 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은 개인 배경 가운데 학년에 따라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 입학 선발 방식에 따라서는 학업, 사회, 일반적 적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에 비추어 논의하고, 대학경영의 관점에서 학생선발 방식의 설계와 관리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Student admission method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upon the students`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s well as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students` adaptation level to university life depending upon diverse admission methods. Utilizing the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we surveyed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data of 183 students, we draw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terms of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level, there found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by the grade level. Second,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llege admission methods. Based on the findings, we made a few policy recommendations for a better design of college admission methods aiming at improving students` adaptation level to college life, thereby to prepare their future more successfu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