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Candidate
신체활동과 인성향상을 위한 체육 수업모형 개발
A New Instructional Model Designed to Enhance Character in Physical Education
김윤희 ( Yoonhee Kim ) , 김병준 ( Byoung Jun Kim ) , 이옥선 ( Okseon Lee )
UCI I410-ECN-0102-2017-370-000086186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을 바탕으로 학생의 인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체육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신체활동 변화단계모형과 책임감모형을 적용한 신체활동 및 인성 변화 2차원 모형을 수업모형 개발의 이론 틀로 채택하였다. 신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인성요소를 반영하고, 학기별 또는 학년별로 체육수업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체육 수업 프로그램 20개(자신감, 책임감, 상상력, 몸마음관계, 창작, 감상, 경쟁/협동, 스포츠맨십, 봉사 리더십, 다문화 체험, 마라톤클럽, 휘트니스클럽, 댄스축제클럽, 줄넘기클럽, 스포츠리그클럽, 뉴스포츠클럽, MOVE클럽, 올림픽클럽, 드라마클럽, 커뮤니티클럽)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신체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여 신체활동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높은 활동을 바탕으로 체육과 교육과정에 수록된 주요 인성 덕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체활동 변화단계에 맞는 수업 지도전략을 제시하여 상위 단계로 신체활동이 향상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동시에 활동 내용에 부합하는 인성 지도전략을 접목하여 인성향상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주제 20개에 대해 초중등학교에 각각 적용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지도안 60개가 개발되었으며, 신체활동과 인성 변화는 2차원모형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수업모형은 체육수업, 클럽활동, 방과후활동 등 신체활동 영역에서 인성교육을 풍부하게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current study outlined a new instructional model designed to enhance students` character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Two theoretical approaches, stages of behavior change model (Prochaska, & DiClemente, 1984) and personal-social responsibility model (Hellison, 2003), were integrated to build a two dimensional matrix. The matrix was used coherently as a guiding framework in the processes of developing diverse elements of the new instructional model. The model included character-centered and physical activity (PA) -centered programs. Each had 10 themes purposefully chosen based on the affective domain presented in the new national PE curriculum. Each theme was designed to represent character-related competences in the curriculum. A total of 60 lesson plans, 30 for character-centered programs and 30 for PA-centered programs, were developed to help physical educators adopt this new instructional model. Educators in physical activity fields would find the instructional model a valuable resource to enrich their effort toward character building in stud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