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9.113.26
18.119.113.26
close menu
}
KCI 후보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정생활 문화" 단원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내용 분석
Analysi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of the Chapter "Family Life Culture"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n Korean High School
백은경 ( Eun Kyong Paek ) , 김영순 ( Young Soon Kim )
교육문화연구 21권 1호 169-198(30pages)
UCI I410-ECN-0102-2017-370-000086191

현재 한국은 정보화 및 세계화에 따라 다국적 이주민이 증가하여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문화, 계층, 인종, 종교 등 편견과 차이에서 비롯되는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다문화 시대를 살아갈 모든 학생들을 위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으로 집필된 기술ㆍ가정 교과서에 다문화 교육 내용이 어떻게 반영이 되어있는지 분석하고자 문헌 고찰을 통해 정체성ㆍ다양성ㆍ평등성ㆍ협력의 네 가지 분석틀을 구안하였고,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교과서 6종의 ``가정생활 문화`` 단원에서 다문화 교육 내용이 교과서별ㆍ주제별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교육 내용을 교과서별로 분석해 보면 정체성 영역에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것은 B교과서였고, 다양성 영역은 F교과서, 평등성 영역은 B와 E교과서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협력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E교과서였다. 주제별로 분석해보면 평균적으로 6종의 기술ㆍ가정 교과서에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영역은 다양성이며, 그 다음이 정체성, 협력의 순서였고, 평등성에 대한 내용은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향후 개발되는 교과서는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 및 외국인 노동자 등 소수자에게 향하는 편견과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평등성을 보완하여 집필될 것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flected in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using four different frames: identity, diversity, equality and collaboration. It analyzes how six different textbooks reflect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ir ``family life culture`` uni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six different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textbook B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llowed by textbook E and A by a narrow margin and textbook C has the lowest frequency. Second, diversity shows the highest frequency in terms of the themes of the contents, followed by identity, collaboration and diversity, with equality showing the lowest frequency. Textbook B shows the highest frequency of identity, textbook F shows the highest frequency of diversity, textbook B and E have the highest frequency of equality and textbook E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collaborati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deal with ``living culture`` as the embodiment of human life and they also deal with ``living cultures of family, consumption, food, clothing, and housing``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family life. For this reas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are appropriate to educate the majority of people ``who are facing multicultural families`` on equality and collaboration as well as the issue of inequality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