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를 막론하고 유럽중심주의 또는 서구중심주의 역사를 극복하려는 논의들은 기존의 인식론적 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서구중심주의 역사학의 중심 개념들에 대한 대안적 개념으로, 본 논문은 ‘자연사’(natural history), ‘열대’(tropics), ‘생물지리적 탐험’(biogeographical exploration), 공간의 ‘발명’, ‘문화융합’(transculturation)을 제시한다. 서구중심주의 역사가 발달해왔던 유럽의 대안적 공간으로 열대를, 인류사(human history) 중심의 역사에 매몰되어 왔던 서구중심주의의 대안적 역사로 자연사를 살펴본다. 이런 논의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근대 서양사가 열대를 어떻게 은폐, 침묵, 배제하였는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류사와 자연사를 대척적 관계 속에서 파악함으로써 서구중심주의 역사 인식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춘다. 인류사 중심의 근대 서양사는 과학혁명, 산업혁명과 시민혁명의 이름으로 열대 자연사를 은폐시켜 왔다. 역사지리적 공간으로서의 열대 자연사에 대한 무관심과 무지가 지속되는 한, 서구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역사적 노력은 대안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While some content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historians have criticized the Western-centric history, they have somewhat difficulty in proposing an alternative historical paradigm to overcome it. This paper argues that they are still embedded in the existing historical concepts such as ‘Scientific Revolution’, ‘French Revolution’, and ‘American Revolution’. Investigating the late eighteenth century Europe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al history of the tropics, it will suggest several alternative concepts such as ‘natural history’, ‘tropics’, ‘biogeographical exploration’, and ‘ transculturation’. Its focus is p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history of the tropics, romanticism and colonization in terms of transculturation. Taking some important figures taken from Kwasimukamba, Herder, Goethe and Humboldt, the paper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tropics has been suppressed and silenced in modern history. (Ajou University / jclee@ajo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