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Accredited
탈민족 다문화 시대의 자국사 교육 -프랑스 "민족서사" 역사교육 논쟁-
Teaching beyond the National Narrative in a Transnational/Multicultural Age - Controversy over "Roman national" in French History Textbooks -
이용재 ( Yong Jae Lee )
서양사론 vol. 128 38-63(26pages)
UCI I410-ECN-0102-2017-920-000087550

프랑스에는 역사교육 논쟁이 한창이다. 2010년에는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고대 중국과 중세 아프리카의 역사를 도입하는 문제를 놓고, 2015년에는 이슬람 역사를 필수과제로 삼는 문제를 놓고 학계는 물론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도 소위 ‘민족서사’ 찬반논쟁이 벌어졌다. ‘보수’ 진영은 유럽 외부로의 시선 확대가 자국사 교육의 위축을 가져온다고 우려한 반면, ‘진보’ 진영은 철지난 자민족 중심교육의 폐기와 전지구사적인 사야확대를 주장했다. 오늘날 프랑스에서 벌어지고 있는 역사교육 논쟁은 세계화와 이주의 시대에 프랑스인이 겪고 있는 정체성 위기의 표현에 다름 아니다. 탈민족/다문화 시대에 새삼민족정체성 담론이 공론장을 뒤흔들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 자민족사의 법위와 내용이 국경을 넘어 유럽외부 세계의 지평으로 확대되어야 할 때가 왔다는 것을 반증해주기도 한다. ‘민족서사’ 논쟁은 이제 프랑스의 역사교과서가 지난 시대의 단일하고 애국적인 프랑스사에서 벗어나 다원적이고 개방적인 프랑스사로 나아가야할 시점에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민족’을 ‘세계’ 속에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가라는 그리 낯설지 않은 물음은 오늘날 모든 나라 역사교육이 안고 있는 당면과제로 남아있다.

The teaching of history had been the subject of polemics in 2010 after the decision to introduce the medieval China and Africa in the college textbooks curriculum, and in 2015 with the decision to have mandatory teaching of Islam. While ‘Conservatives’ apprehend that teaching extra-European History would lead to the neglect of proper French History, ‘Progressives’ insist on the depreciation of national narratives in old fashion and the growing importance of transnational and global perspective in history teaching. This ongoing history-teaching debate would be nothing but the expression of the identity crisis that France is going through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migration. In the context of transnational/multicultural ages, discourses on national identity are being tendentiously recast in French public sphere. This ironically means that we simultaneously observe the migration beyond the frontier, and see how the national history is being resituated within a variety of Extre-European and global frameworks. The so-called ‘Roman national’ controversy suggests that French historiography nowaday must be remolded from its unique and patriotic version into the pluralistic perspectives. The question of how the Nation would be relocated in the wider World remains the major task with which is faced history teaching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leeclio@jbnu.ac.kr)

Ⅰ. 머리말 
Ⅱ. 역사교육과 ‘민족서사’
Ⅲ. ‘민족서사’의 성쇠
Ⅳ. 역사교육과 정체성 정치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