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3
18.97.14.83
close menu
Accredited
웬트의 관념주의의 저구체성(低具體性)
Wendt`s Underspecified Ideationalism: The Case of the “East Sea Bill”
하보람 ( Boram Ha ) , 박건영 ( Kun Young Park )
동아연구 vol. 70 1-31(31pages)
UCI I410-ECN-0102-2017-910-000088624

냉전의 평화적 종식으로 월츠의 물질론적 신현실주의가 도전받을 무렵웬트는 관념주의적 존재론과 실증주의적 인식론을 결합한 새로운 접근법을 국제정치학계에 도입하였다. 물질적 결과를 매개한다는 “공유된 관념, 가치, 정체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웬트의 구성주의는 현재까지 국제정치연구의 중요한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논문에서 필자들은 관념 변수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웬트의 관념주의는 “프리사이즈(one-size-fits-all)”로서 저구체화(低具體化 underspecified)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웬트가 월츠의 무정부상태라는 개념이 저구체화 되어 있다고 비판한 맥락과 유사하다. 필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념 변수를 적어도 두 개로 나눠야 한다고 제시한다. 관념 변수 중 인류와 관련된 보편적 변수와 개별국가와 관련된 개별적 변수가 그것이다. 필자들은 이렇게 구분할 때에야 비로소 2015년 미국 버지니아 주에서 동해 병기를 법제화한 사건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International Relations (IR) scholar recognize Wendtian constructivism to be a major step forward because of its emphasis on ideational variables in analyzing international relations. However, the authors of this paper argue that Wendt’s characterization of shared values, ideas, and identities is underspecified. We suggest that “the 2014 Virginia decision” is an obvious case in which it loses its explanatory power as Americans in Virginia chose to support the Korean cause despite the fact that Japan rather than Korea is closer to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shared values, ideas, and identities. We believe that the problem derives from Wendt’s “one-size-fits-all” categorization of his conceptual variable. We suggest that, in order to rectify the lack of specificity inherent to constructivism, a distinction between different levels of the ideational variables is necessary. Utilizing this insight, we attempt to identify the contexts under which the “superordinate” values, ideas, or identities split from the “general” on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