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사륜 오토바이와 오토바이의 손상의 비교
이진구 , 강영준 , 송성욱 , 김우정 , 강경원 , 박현수 , 박창배
UCI I410-ECN-0102-2017-510-000089876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 This article is free of use.

제주도는 관광 및 레저를 목적으로 ATV (All-terrain vehicles) 의 이용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ATV 에 의한 손상도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제주도 내에서 발생한 ATV와 오토바이(Motorbike) 사고를 비교하기 위한 논문이다. 2011년 1월~2014.12까지 제주도 소재 대학병원을 방문한 123,992명의 환자 중 ATV (101명) 및 오토바이(584명)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ATV 손상환자 중 여성이 많았고(64 (63.4%) vs 192 (32.9%), p<0.001), 여행 목적으로 ATV를 이용한 사람이 많았다. (여행 94 (93.1%) vs 무보수업무 335 (57.4%), p<0.001) EMS (Emergency medical services)의 사용 빈도는 ATV가 더 낮았다 (24 (23.8%) vs 271 (46.4%), p<0.001) 자동차 보험의 이용률 또한 ATV에서 더 낮았다. (11 (10.9%)vs 316 (54.1%), p<0.001) 사고 당시 동승자인 경우가 ATV에서 더 많았다. (22(21.9%) vs 59(10.1%), p<0.001) 안전장비의 사용률은 헬멧 모두 ATV가 더 많았고 (Helmet 74 (73.3%) vs 362 (62.0%), p=0.01) 다변량분석(multivariate logistic model) 상 ATV와 오토바이 간의 우도비는 1.018 (0.376-1.414)로 탑승 중 발생한 손상간에 임상적으로 필요한 치료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ATV 손상 환자의 중증도와 유해 손상 발생은 오토바이 손상 환자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으며, 젊은 연령층과 동승자의 사고 비율이 높다. 그러나 보험 가입, 병원 전 이송 서비스의 이용률이 저조하여 이에 대한 홍보 및 지도 감독이 필요하며, 적절한 크기의 보호장구의 착용 및 동승자 탑승 금지에 대한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