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관 이물 관련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고령 환자의 경우 더 잘 발생하며 합병증 발생률이 높다. 따라서 소화기관 이물로 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한 노인 환자를 비노인 성인 환자와 비교 해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0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하여 소화기관 이물을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노인(≥65yr) 환자 군과 비노인 성인(20~64 yr) 환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497명의 소화기관 이물 환자 중 노인 환자는 93명(≥65 yr, 18.7%), 비노인 성인 환자는 404명(<65 yr, 81.3%)이었다. 노인 환자의 경우 기저질환이 더 많이 존재했으며(12.0% vs. 3.0%, p<0.001), 합병증 발생률과(4.3% vs. 0.2%, p<0.001), 입원 기간이 더 길었다(4.88±4.26 vs. 3.08±2.97, p<0.001). 노인 환자와 비노인 성인 환자간 증상 종류(p<0.001), 증상 위치(p=0.001), 및 치료 방법(p=0.001)에서 차이가 났다. 또한 노인 환자의 경우 비노인 성인 환자보다식도에 이물이 위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46.0% vs. 17.4%), 부드러운 모양의 이물(18.0% vs. 5.0%)과 음식물 덩어리가(16.0% vs. 3.3%) 더 많이 발견되었다. 소화기관 이물 환자에서 노인 환자가 흉부와 복부 증상이 더 많았으며 식도에 이물이 위치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경계가 부드러운 이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높은 입원율과 합병증 발생율을 보인다. 따라서 노인 소화기관 이물 환자를 진료할 때 이와 같은 특징을 고려하여 빠른고 정확한 진단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