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심포지엄 3 : 사고의 전환, 의료시뮬레이션이 보인다
Clinical Applications of simulation in healthcare
김수진
UCI I410-ECN-0102-2017-510-000092911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 This article is free of use.

응급의학은 다양한 임상 영역을 포함하고, 응급처치의 긴급수준 또한 다양하며, 응급환자의 진료에 있어 병원 전 단계의 소방 및 지역 내 의료관련 기관뿐 아니라, 병원 내 다른 영역의 의료진과 협력을 요하고, 병원 내 진료 관련 시스템에 있어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의료시뮬레이션바탕 교육관련 연구들에 기반하면, 1992년부터 여러 직역에서 보고가 시작되었으며, 의사국가고시에서 표준화 환자 및 부분술기 마네킨을 이용한 임상 수행 능력 평가를 실시하게 되고, 환자 안전과 의료 질 향상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활성화되고 확대되고 있다. 응급의학 영역은 임상 상황에서 전공의에게 표준화되고 안정된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어려우며, 준비되지 않은채, 다양한 환자의 위기 상황에 처할 수 있고, 여러 과 및 다양한 직역들과의 비기술적 술기(소통, 팀워크, 리더십 등)를 요구되어 시뮬레이션 바탕 교육의 요구도가 높으며, 특히 심정지 상황, 소생의학의 영역을 시작으로 교육 커리큘럼이 만들어 지고 국내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교육은 교육자의 시간과 노력 및 교육에 이용되는 자원이 많이 소모되므로, 교육커리큘럼의 목적과 목표에 따라 교육 효과에 대한 효율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단순한 선호나경직된 배제는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학습과 교육에는 사전 교육계획에 의한 교육, 평가, 평가의 반영인 성과에 대한 확인의 학습순환고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의료시뮬레이션바탕 교육 또한, 교육 대상(교육생 직역, 교육 수준 등), 교육 목표와 목적(명확성, 학습, 점검등), 평가(피드백, 디브리핑 등), 성과(개인 수행 능력, 팀수행능력, 환자 진료영역, 환자 치료 경과 등)등에 대해 교유과정의 구조를 짜는 것이 중요하다. 의료시뮬레이션 바탕 교육의 효과와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교육 대상의 교육 내용과의 연관성 및 사실성, 시뮬레이터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교육내용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의료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응급의학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교육과 사용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창의성과 다양성을 고려하여 각 개인 및 팀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뿐 아니라, 병원 정책과 행정, 진료 시스템의 점검에도 이용될수 있다. 시뮬레이션 상황은 현실에 대한 가상 상황으로 현실, 문화의 반영이며, 이에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응급의학영역에서의 의료시뮬레이션 이용 교육 등에 다양한 경험과, 창의적인 시도(중환자의학, 쇼크, 외상, 상처관리, 임상 중독, 재난, 군진 의학, 병원 정책/행정, 적정진료관리, 환자흐름 등의 영역에서의 이용 등)를 소개한다. 이는, 응급의학에서 교육생의 개개인 또는 팀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도구이자, 병원시스템에서의 정책 개발 및 점검 도구로서의 의료시뮬레이션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추후 의료시뮬레이션의 효율적인 이용에 도움이 되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