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의 여가레크리에이션 관련 학술지(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한국체육학회지,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여가학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에서 최근 10년 간 발표된 여가레크리에이션 연구들의 주제를 여가학 연구영역 별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확인하였으며 각 학술지간의 연구동향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최근 10년 동안 여가사회심리 영역에 속하는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학회지별 연구 동 향을 비교한 결과 모든 학회지에서 여가사회심리 연구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우위를 보였다. 현재 한국여가레 크리에이션 연구는 편향적인 연구 동향을 보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여가레크리에이션학 연구의 확장을 위해서 연구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앞으로 수행될 여가레크리에이션 연구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 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trends in leisure and recreation research in Korea for the past 10 years. We classified previous research based on ten leisure and recreation research areas and compared the research trends of five journals: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Journal of Leisure Studies, and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research published over the last decade were included in the area of leisure social psychology, and the area of leisure social psychology showed the highest ratio in five journals compared with other research areas. To resolve the problematic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needs to have diversity to extend the leisure and recreation research realm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isure and recreation research in Korea. We expect that this study would be used as a foundation for future leisure and recreation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