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4.63.20
18.224.63.20
close menu
}
KCI 등재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신체 억제대 사용과 관련 요인
Physical restraints use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유아름 ( Ah Reum Yoo ) , 김홍수(교신저자) ( Hong Soo Kim )
UCI I410-ECN-0102-2017-510-000094708

신체 억제대 사용은 외국의 경우 중요한 장기요양기관 환자 안전 질 지표이나 한국에는 이에 대한 연구와 정책이 미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신체 억제대 사용과 그관련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의 10개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해 있는 노인중 무작위로 선정된 307명으로 이들의 건강 상태와 서비스 제공 양상을 한국어판 인터라이 장기요양기관 평가도구 (interRAI LTCF)를 이용하여 노인을 매일 돌보는 기관 실무자가 교육을 받은후 포괄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노인의 다면적 기능 상태와 함께 기관 특성인 기관규모, 설립 및 운영 형태, 간호인력 수준을 조사하였고, 결과변수로 사용하는 신체 억제대 종류와 정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78.2%는 침대 사방의 난간을 4.2%는 몸통 억제대를 27.7%는 일어나는 것을 제한하는 의자를 사용하고 있었다. 다수준 분석 결과, 신체 억제대 사용에 관련된 노인 특성은 인지, ADL 및 이동의 의존성이며, 기관 특성은 간호인력, 기관규모, 설립 및 운영형태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장기요양 시설 노인의 상당수에서 신체 억제대가 사용되고 있고, 신체 억제대 사용에는 개인특성 뿐 아니라 기관특성도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인권과 환자안전의 관점에서 한국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신체 억제대 사용 제한을 위해, 개인과 기관 요인 고려한 장기요양 질 관리 방안과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에 대한 실효성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대표성 있는 표본을 이용한 추후 심층 연구를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nt of physical restraint use and associated patientand facility-level factors among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in Korea. Method: The sample includes 307 randomly selected older residents in 10 nursing homes. Data on the functional status of these older adults and the services they received were collec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interRAI LTCF. Data on faci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staffing level were also collected through chart review and confirmed by staff. As physical restraints, full-side bed rails, trunk restraints, and chairs preventing rising were observed in this study. Multi-level, multivariate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About 78.2% of older residents in the sample were restrained by full-side bed rails and 31.9% by trunk restraints and/or chairs preventing rising. Restraint use was associated with several patient (cognition, ADL, and dependence in moving around) and also facility (size, ownership, type, staffing level) characteristics.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on physical restraint use among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in Korea. Physical restraint use was prevalent, and several patient- and facility-level factors were simultaneously associated. Needed are facility-level strategies to decrease physical restraints and policies to promote such strategi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