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5
18.97.9.175
close menu
심전도 케이스
long RR interval 을 보이는 EKG (Interesting EKG case)
고일다
UCI I410-ECN-0102-2017-510-000096106
* This article cannot be purchased.

배경(Background): 심장에는 전기자극을 만들어내는 자극생성조직과 이를 심근세포에 전달해주는 자극전도조직이 있다. 이러한 심장의 자극생성조직은 규칙적으로 1분에 60~100회의 전기 자극이 만들며 심장을 규칙적으로 심박동한다. 하지만 심장에서 전기 자극이 잘 만들어 지지 못하거나 자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규칙적인 수축이 계속 되지 못하여 심장 박동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혹은 불규칙해지는데, 이를 부정맥이라 한다. 방법(Methods): 심전도는 비관혈적 검사로서, 간단하고 재현성 있게 기록되며 반복하여 기록할 수 있고 검사비용도 비싸지 않아 심장검사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있다. 검사방법은 심장의 수축에 따르는 활동전위의 시간적 변화를 각 유도법에 따라서 신체표면의 일정부위에 전극을 부착시키고 두 electrode 간의 전위차를, 또는 신체표면상의 한 점의 전위변화를 눈에 보이는 곡선으로 기록한다. 결과(Results): 부정맥이 발생하면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이 두근거림 등으로 불쾌하게 느껴질 수 있고, 혈액을 박출하는 심장의 능력이 저하되어 이로 인해 호흡곤란, 현기증,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부정맥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가능한 빨리 병원을 방분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그에 따른 치료가 필요하다. 고찰(Discussion): 심전도란 임상검사로서 그 결과가 심장질환의 진단이 아닌 경우가 많다. 심전도소견은 매우 다양하여 심장병환자가 정상심전도소견을 나타낼 수도 있고, 정상인이 비특이적인 심전도 소견을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심전도는 임상소견과 더불어 판독하여 정확한 부정맥 진단에 이용되어야 할 것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