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1.139.125
18.221.139.125
close menu
}
순환계 : 일반연재 ; 감염성 심내막염
infective endocarditis
제나리 , 박옥이
UCI I410-ECN-0102-2017-510-00009649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배경(Background) 감염성 심내막염의 진단과 치료의 지속적인 발전에도 이 질환의 사망률은 20~30%로 여전히 매우 높은 질환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 합병증의 조기 발견 및 적절한 치료의 선택이 중요하다. 심초음파 검사는 감염성 심내막염의 진단에 있어 증식물(vegetation)을 확인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지만 판막 기능 부전의 중증도와 판막주변 농양, 누공(fistula)의 존재와 같은 합병증을 확인하는것은 환자의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방법(Methods) 심초음파로 판막의 활발한 감염과 증식병변, 감염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 판막주변 농양 등을 확인한다. 결과(Results) ㆍ 심초음파상 심내막염의 확인 - 심장판막이나 주변구조물, 역류 혈류의 경로, 심장내에 이식된 구조물에 부착되어 진자운동을 하는 종괴(oscillating mass) - 심장내 농양 - 새로 발생한 인공판막의 부분적 분리(dehiscence) ㆍ 새로 관찰되는 심장판막의 역류고찰(Discussion) 감염성 심내막염은 진단이 늦어질 경우 상망률(morbidity)과 치명률 (mortality)이 매우 높으므로 빠른 진단이 요구된다. 이에 심초음파 검사자들은 정확한 영상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며 기기작동의 활용도를 높여 감염성 심내막염의 진단을 높이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