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5.34.133
3.145.34.133
close menu
}
KCI 등재
의사결정에 있어 두 종류의 합의의 위험성 (Crises of Agreement): 챌린저 우주왕복선 폭발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The Two Different Crises of Agreement in the Challenger Disaster Case
김윤호 ( Yoonho Kim )
UCI I410-ECN-0102-2017-350-000098024

본 연구는 챌린전 우주왕복선 폭발사고 사례를 집단사고 (groupthink)와 Abilene paradox라는 두 가지 개념적 틀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에 의하면 미 항공우주국(NASA)의 서로 다른 레벨의 비행 준비 재검토 과정 (Flight Readiness Review Process)에서 상이한 의사결정 상의 합의의 위기가 발생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즉, Level 1에서는 집단사고가 Level 3(Marshall Center)과 Level 4(Thiokol Caucus)에서는 Abilene paradox가 나타났다. 아울러, 본 사례분석은 집단사고와 Abilene paradox의 향후 연구를 위한 몇몇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조직의 하나의 위계구조 내 동일한 사안에 대한 의사결정에 있어서 집단사고와 Abilene paradox현상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가 지니는 또 하나의 의미는 기존의 챌린저 사례에서 간과하였던 Abilene paradox라는 새로운 틀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llenger disaster case based on the framework of distinctive features of groupthink (GT) and Abilene paradox (AP). The case analysis found that two different crises of agreement occurred at different levels of NASA’s Flight Readiness Review Process: GT at Level 1; and AP at Levels 3 (Marshall Center) and 4 (Thiokol Caucus). Several implications are illustrated for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on GT and AP. This study suggests that GT and AP can occur together within a hierarchical or organizational structure on the same issue of decision-making.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Challenger case has never been studied through the framework of the Abilene Paradox perspective.

Ⅰ. Introduction
Ⅱ. The Overview of the Challenger Disaster Case
Ⅲ. Framework for Challenger Case Analysis
Ⅳ. Challenger Disaster Case Analysis through the Frameworks of Groupthink and Abilene Paradox
Ⅴ. Summary of the Challenger Case Analysis
Ⅵ. Conclusio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