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 전 만 5세 아동들의 읽기 발달에 있어서 음운인식(Phonological Awareness)과 단어재인(word recognition)이 어떻게 변화하고 서로 상호작용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5세 아동 74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 단어재인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하여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안정성과 변인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은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으로,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다면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뚜렷한 인과관계를 도출해 낼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아동들의 경우 음운인식과 단어재인 능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둘째, 만 5세 아동들의 경우 음운인식과 단어재인간에 상호작용적 교차지연효과가 있다. 셋째, 만 5세 아동들의 경우 음운인식과 단어재인 두변인 중 어떤 변인이 선행적 인과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서로의 영향관계는 존재하지만 회귀계수의 크기를 고려하여 보았을 때, 상호교환적이라기 보다는 상호독립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횡단연구를 통해 음운인식이 단어재인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한 결과를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재확인하고, 비록 그 영향력은 적다고 하여도 시간의 변화에 따라 두 변인이 상호작용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회귀 효과를 이용하여 학령 전 시기에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대한 상호독립적 중재가 아동들의 읽기 능력 발달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하였다. 끝으로, 결론 및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o do that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recognition changes in the reading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aged fiv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o achieve this purpose, test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recognition were administered to 74 five-year-old children. By apply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alyzed the causality and stability over time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recognitio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is a way to se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using the longitudinal data. By verifying a multi-faceted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t has distinct advantages that you can derive a causal relationship.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recognition were significantly stable over time in five-year-old. Second, phonological awareness predicted subsequent word recognition and word recognition predicted subsequent phonological awareness too. Thus, we can see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recognition in five-year-old. Third, as the cross-lagged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recognition from T2 to T3 proved the reciprocity and independence with each other. This study confirmed again that phonological awareness influences the word recognition through the longitudinal data.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