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4
18.97.9.174
close menu
Accredited
경남 거제 연안에 출현하는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치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of Gymnogobius heptacanthus in the Coastal Waters of Geoje, Korea
김현지 ( Hyeon Ji Kim ) , 정재묵 ( Jae Mook Jeong ) , 예상진 ( Sang Jin Ye ) , 백근욱 ( Gun Wook Baeck ) , 허성회 ( Sung Hoi Huh )
UCI I410-ECN-0102-2017-520-000098740

2011년 6월에서 8월까지 거제 연안에서 RN80으로 채집된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치어 229개체의 소환관 내용물 조성을 조사하였다. 살망둑 치어의 체장은 14~29 mm의 범위를 보였으며, 요각류 (Copepoda)가 가장 우점한 먹이생물이었다. 요각류 다음으로는 만각류 (Cirripedia)의 Cypris 유생이 우점하였으며, 그 외 지각류 (Cladocera), 십각류 (Decapoda) 등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살망둑 치어의 섭식 전략과 섭식패턴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해적방법을 이용한 결과, 요각류 중 긴노요각목 (Calanoida)이 출현빈도와 특정먹이 생물우점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살망둑 치어는 긴노요각목을 가장 우점적으로 섭식하는 종임을 알 수 있었다. 살망둑 치어는 모든 체장군에서 요각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요각류 중 긴노요각목이 가장 우점하였다.

The feeding habits of juvenile (14.0~29.0 mm SL) of Gymnogobius heptacanthus were examined based on 229 individuals, that collected from June to August 2011 in the coastal water of Geoje, Korea. G. heptacanthus fed mainly on copepods which constituted 96.74% in IRI. Barnacle larvae were the second largest dietary component.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tintinnids, cladocerans and decapods. Graphical analysis of the diet composition showed that G. heptacanthus is a specialized predator characterized by strong individual feeding specialization. Especially copepods were heavily selected by of juvenile G. heptacanthus regardless of prey availabil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