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당송,재학 논쟁의 해소: 건륭연간 성령시학으로 인한 논쟁에 대하여
▣ General Articles : Resolving the Tang-Song, Talent-Studying Debates: On the Debates over Xingling Poetics in Qianlong`s Reign
쟝인 ( Yin Jiang )
연민학회 2015.08
연민학지 vol. 24 173-205(33pages)
UCI I410-ECN-0102-2017-800-000111590

원매의 성령시학은 전통 시학의 기본 관념을 전체적으로 顚覆하였으며, 시학 이론에서 강렬한 파장을 일으킨 동시에, 학인들로 하여금 전통시학의 기본 문제에 대한 再思考를 촉구하였다. 그 중에서 당시와 송시에 대한 논쟁, 작시 전통과 시적 재능에 대한 논쟁은 당시 시단의 주요한 쟁점이었다. 많은 시인들이 논쟁에 참가하였으며, 이러한 논쟁은 건륭연간 시학의 주요 논점이었다. 본고는 당시와 송시에 대한 논쟁으로부터, 시학적 논쟁 배후의 詩歌史와 詩學史의 배경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才學 논쟁을 이론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주로 學人의 시, 才人의 시, 詩人의 시라는 세 가지 개념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한 가지 측면에서 건륭조 詩學의 역사 전개와 발전 추세를 살펴보았다.

The basic concepts of Yuan Mei`s xingling (性靈) poetics, while sending strong shockwaves throughout poetic theory, also urged scholars to reconsider the root problems of traditional poetics. Among these, the debates over Tang and Song poetry, compositional tradition, and poetic talent were the main issues in the poetry world at the time. Many poets participated in the debates, and these debates were the main points in the poetics of Qianlong`s reign. This study takes the debates over Tang and Song poetry, analyzing the background of the history of poetry and poetics for the underlying situation of the debates in poetics, and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existing talent-study debates. Analyzing the formation processes of the three concepts of poetry: poetry by scholars, poetry by talents, and poetry by poets, it explor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rends of one aspect of poetics in Qianlong`s reig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