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은 갈등 때문에 일어나며, 한 나라가 다른 나라를 정복하거나 화해한 뒤에야 전쟁이 마무리된다. 1592년부터 7년이나 계속되었던 임진왜란이 3년이 지나 소강 상태에 이르자, 평화회담이 시작되었다. 중국과 조선 사신이 일본에 파견되었는데, 이때에도 통신사(通信使)라는 칭호를 썼지만, "소식을 전한다"는 이상의 의미는 없다. 신의(信義)를 전하려면 두 나라 사이에 우호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어 몇 차례 준비 사절이 오고갔어야 하는데, 이 시기에는 서로 믿을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1589년 쓰시마 번주 소 요시토시가 직접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전국 통일을 축하하는 통신사 파견을 강하여 요청하였다. 1590년에 정사 황윤길, 부사 김성일, 서장관 허성이 통신사로 파견되자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이 통신사에게 "정명향도(征明嚮導)"를 요구하는 국서를 냈고, 쓰시마 번주 소 요시토시와 그의 장인 고니시 유키나가는 조선과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가도입명(假道入明)"으로 바꿔서 협상하였다. 조선은 당연히 거부하였다. 일본이 통신사를 침략에 이용했을 뿐이다. 전쟁 중에, 또는 전쟁이 끝난 뒤에 파견된 통신사에는 의병들도 참여했는데, 그들이 일본을 가장 잘 알기 때문이었다. 현재 통신사 연구는 1607년에 파견된 사신을 제1차라고 부르지만, 통사(通史)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이 시기에 파견된 사신들의 기록도 모두 수집하여 정리하고, 분석해봐야 한다. 통신사는 대등한 관계에서 오가는 평화의 사신인데, 역설적으로 한국과 일본 두 나라 사이의 통신사는 전쟁을 마무리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임진왜란의 강화(講和) 과정에서 포로를 데려와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생겨 1607년에는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라는 명칭으로 시작했지만, 돌아오고 싶어하는 포로들이 상당수 귀국하자 두 나라 사이에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4차(1636)부터는 통신사라는 명칭으로 파견되었다. 에도막부도 국가의 대표성을 국내외로부터 공인받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들여 통신사를 접대했는데, 중국과 외교가 단절되어 대륙문화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일 기회가 줄어들자 조선 정부에 각 분야의 전문가를 보내달라고 요청하였다. 통신사의 숙소에 일본 전문가들이 찾아와 질문하고 조선 전문가가 답변한 내용이 바로 필담집(筆談集)인데, 선진문화를 읽어보고 싶은 일본 독자와 자신이 이름을 널리 알리고 싶은 일본 문사, 책을 판매하여 이윤을 추구하려는 상업출판사의 욕구가 맞아떨어져 200여종의 필담창화집이 곧바로 간행되었다. 통신사가 파견되기 직전에 의병장 출신의 차관(差官)들이 일본에 파견되었는데, 이들의 기록도 집대성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의병장들의 일기, 명나라 장수들의 기록, 임진난에 참여한 일본 측의 기록도 전부 수집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기록들을 집대성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면, 임진난에 대한 연구가 더욱 다양한 각도에서 이뤄지지라고 생각한다.
Wars arise from conflict, and end when one country conquers or reconciles with another. When the Imjin invasion, which continued for seven years from 1592, fell into a lull in its third year, peace talks were begun. Chinese and Choson emissaries were dispatched to Japan, and although they were designated as t`ongsinsa (通信使), this did not mean more than "sending tidings." As neither side trusted the other in this period, friendly relations would have to been established between the two countries with several preliminary emissaries coming and going beforehand in order to convey fidelity. In 1589, the daimyo of Tsushima Island, So Yoshitoshi, personally came to Choson as an emissary and strongly requested dispatching emissaries congratulating Toyotomi Hideoyoshi for uniting all of Japan. In 1590, when Chief Emissary Hwang Yun-kil, Vice Emissary Kim Song-il, and Secretary Ho-Song were dispatched and Hideoyoshi sent a diplomatic message to them demanding "guidance on the roads to attack Ming," Yoshitoshi and his father-in-law Konishi Yukinaga changed and negotiated the terms to "borrow the roads to enter Ming" in order to avoid war with Choson. Choson naturally refused. Japan had merely used the emissaries for invasion. During and after the war, "righteous militias" also participated in the diplomatic missions as they knew Japan best. The current research on diplomatic missions designate the emissaries dispatched in 1607 as the first, but the records of the emissaries in this period should be collected, arranged, and analyzed in order to research the history of diplomatic missions. Although diplomatic missions were emissaries of peace that went back and forth during equal relations, they were paradoxically were sent to end war between the two countries of Korea and Japan. When the practical problem of repatriating hostages arose in the peace talks process of the Imjin Invasion, the emissaries were first designated as "Replying and Repatriating Emissaries" (Hoedapkyomswaehwansa, 回答兼刷還使), and dispatched as t`ongsinsa in the fourth round of talks (1636) in order to preserve peace between the two countries with the high numbers of hostages wanting to repatriate. While the Tokugawa shogunate spent massive sums to receive the diplomatic missions to gain domestic and foreign recognition of its regime, it requested the Choson government send experts of all fields when formal opportunities to receive the culture of the mainland decreased after cutting off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The compilations of "written conversations" contained questions by Japanese experts who went to the quarters of the Choson emissaries and the responses by Korean experts, and two hundred of these and exchanged poetry anthologies were published as through the desires of Japanese readers, Japanese literati who wanted fame, and commercial publishing in pursuit of profit coming together. Before the diplomatic missions were dispatched, righteous militia leaders were sent as special envoys to Japan, and there is also a need to compile their records. Their diaries, the records of Ming generals, and the records of Japanese participants in the war have not been completely gathered. If these records are compiled and made into a database, research on the Imjin Invasions can progress in even more varied persp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