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포스터 9 : Haemonetics PLX8을 이용한 백혈구 여과제거혈소판에서의 백혈구 제거율 평가
Leucocyte removal rate in platelets concentration using Hemonetics PLX8
김화영 , 김소리 , 노연희 , 이상연 , 이은경 , 김신영
UCI I410-ECN-0102-2017-510-000110149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배경(Background): 혈액제제 수혈 시 발생할 수 있는 특이반응은 오한, 발열 및 알레르기성반응 등으로, 특히 농축혈소판에 포함된 백혈구에 의한 비용혈성 발열반응, 반복적인 혈소판수혈로 인한 혈소판수혈불응증, 이식편대숙주병, 면역억제 등으로 인한 Cytomegalovirus 나HTLV-1의 감염 등이 있다. 혈소판 수혈인 경우 여러 부작용을 감안하여 환자의 임상증상, 합병증의 여부, 혈소판 기능 등 임상적응증에 따라 선별적으로 백혈구를 제거하여 수혈되고있다. 백혈구제거 혈액제제를 만드는 방법 중 간편하고 제거율과 회수율이 좋은 여과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본원도 Haemonetics PLX8(Blood Bank용)을 이용하여 백혈구여과제거 혈소판을 제조하고 있어 여과 전후에 혈소판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백혈구가 최대한 제거됨을 재평가해보고자 한다. 방법(Methods): 2013년 9월23일부터 9월 27일까지 본원 백혈구여과제거 혈소판을 의뢰한 20명을 임의로 선택하여 적십자 서부혈액원에서 공급받은 혈소판농축제제로 처방 unit(6unit)로 혼합(Pooling)하고 Haemonetics PXL8로 여과하였다. 여과 전 . 후 용량측정과 혈소판수, 백혈구수를 ADVIA 2021i 로 측정하였고 대상 백혈구여과제거 혈소판은 400 ml 6 단위15 episode, 320 ml 6 단위 5 episode 를 시행하였고 백혈구 제거 성분채집혈소판 10 단위의 혈소판과 백혈구수를 상기의 장비로 측정하였다. 결과(Results): 백혈구여과제거 혈소판제제 400ml 6단위 15 episode의 여과 전 . 후 평균 용량회수율은 94.6%, 백혈구제거율은 97.7%, 혈소판회수율은 92.0%였고 300ml 6단위 5 episode의 여과 전 . 후 평균 용량 회수율은 94.0%, 백혈구제거율은 99.1%, 혈소판 회수율은 89.9%였다. 또한 대한적십자 서부혈액원에서 공급받은 백혈구제거 성분채집혈소판 10 unit의 평균혈소판수는 3.07×1011/unit, 평균 백혈구수는 5.0×106/unit 이었으며 평균 용량은 259 ml로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고찰(Discussion): 본원 혈액은행은 연간 10만여 단위 이상의 혈소판농축액을 적십자혈액원에서 공급받아 백혈구제거 적응증을 가진 환자분들에게 그 중 70%이상을 백혈구 여과제거과정을 거쳐 공급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하는 업무가 환자안전에 직결되므로 백혈구제거의 기능과 혈소판의 회수율 등을 다시 한번 점검하였고 그 결과 안전하고 적정한 혈소판을 제공하고 있다고 평가 되었다. 본원에서는 병실에서도 bed side용 필터를 사용하여 혈소판의 백혈구여과제거 과정을 병행하여 실시되고 있다. 병실은 취급 담당간호사의 잦은 변경과 환자에 따라 주입속도도 다르며 환자가 움직일 수도 있어 백혈구제거율이 달라질 수 있고, 번거롭기도하여 혈액은행에서 지속적으로 공급해 주기를 요청하기도 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환자안전을 위해서는 백혈구가 제거되어 제조되는 성분채집혈소판의 사용을 점차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고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