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포스터 4 : 알러지 반응 환자를 위한 세척 백혈구여과제거성분채혈혈소판 수혈 1례
A case of washed A-PLT transfusion in a patient with allergic reaction
박수정 , 양회주 , 박현준 , 권석운
UCI I410-ECN-0102-2017-510-000110098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배경(Background): 알러지 반응은 혈장성분 중에 존재하는 알러지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allergen)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llergen은 대부분 혈장단백이며 이것이 수혈후 환자의 mast cell에 붙어 있는 IgE와 결합하면 히스타민 등이 분비되어 과민성반응이 촉발되어 알러지 반응이 나타난다. 혈장성분이 함유된 혈액제제 수혈 후 대개 즉각적으로 유발되며 두드러기, 가려움증, 혈관부종, 심하면 아나필락시 반응까지 나타날 수 있다. 경미한 알러지반응의 경우는 항히스타민제의 사용으로 완화 되지만, IgA가 결핍되어 IgE anti-IgA를 가지고있는 환자, 또는 haptoglobin, C4, ethylene oxide 등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는 심한 아나필락시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알러지 반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혈 혈액에 함유되어 있는 혈장성분을 세척하여 수혈하는 것이 최선이다. 본원에서 수혈 후 알러지 반응의 과거력을 가진 환자에서 백혈구여과제거 성분채혈 혈소판을 세척하여 수혈한 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case): 23세 여자 환자로 재생불량성 빈혈로 타원에서 동종조혈모세포를 이식 받았으며, 이식 후 진균 감염이 발생하여 본원에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혈색소 수치는 7.9 g/dL, 혈소판수치는 29×103/μL였다. 내원전 타원에서 혈소판 수혈 시 혈관부종, 두드러기 등을 호소하여 성분채혈혈소판을 세척하여 수혈한 과거력이 있었다. 환자에게 수혈할 백혈구여과제거 성분채혈혈소판에 0.9% 생리식염수 첨가 후 41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을 제거한다음, 생리식염수 250 mL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혈소판을 풀어준 후 출고하였다. 세척한 성분채혈혈소판을 입원기간 동안 3회 수혈하였고 수혈 후 알러지 반응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혈소판 수치가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Conclusion): 혈액제제의 혈장 내에 포함되어있는 혈장단백에 대한 IgE 항체를 가진 환자는 그 항체와 반응하는 혈장단백이 수혈에 의해 환자에게 주입되면 알러지 반응이 유발될수 있으므로, 이런 환자에게 수혈할 경우에는 세척과정을 통해 혈장단백을 제거해 주는 것이필요하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