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5.213.128
3.135.213.128
close menu
}
구연 2 : Adsorption & Elution 법을 이용한 ABO 아형의 discrepancy 해결 사례
ABO subgroup discrepancy cases solved by adsorption & elution methods
김효진
UCI I410-ECN-0102-2017-510-000109962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배경(Background) : ABO혈액형은 모든 혈액형 중 수혈 시 가장 중요한 항원이다. 이에혈액은행 업무 중 발생 된 A형 또는 B형의 아형을 보이는 검체의 경우 ABO 유전자형검사가 가장 확실한 방법이긴,하나 검사비용과 긴급한 수혈을 요하는 상황에 검사 소요시간이 다소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어, 이에 본원에서는 아형을 해결하는 여러 혈청학적벙법 중 Adsorption & Elution방법을 이용해 ABO 아형을 해결 한 사례를 통해 임상적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Methods) : 본원의 2005년부터 2011년 9월 까지 다양한 혈청학적 방법으로 해결된 약 20건의 ABO 아형에 대한 discrepancy 사례들 중 총 10건의 Adsorption & Elution방법을 추가로 시행 했던 사례에 대한 해당 환자들의 history 및 혈청학적 검사 결과들을 분석하였다. 결과(Results) : ABO 아형의 해결을 위해 Adsorption & Elution 방법을 시행했던 총 10건의 사례 중 그 결과 및 다른 혈청학적 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판정하여, A weak 2건 , Am1건 , Bx 1건, Bel 1건, A weak B 1건, B weak 1건, A weak B3 1건 , Adsorption & Elution방법 이외 유전학적 검사를 시행해야 판정이 가능 한2건을 보였다. 고찰(Discu sion) : 혈액은행 업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ABO불일치나 A형 또는 B형의 아형에 대한 해결은 수혈뿐만 아나라 친자 감별, 인류학 등에 이용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아형을 감별하는 방법으로 식물응집소(Dolichos biflorus)와의 반응, 흡착 및 해리(Adsorption & Elution)검사 이 외 혈액형 전환 효소 검출, 타액 속의 형 물질 검사, 면역글로블린 정량 검사, 가장 확실한 유전자형 검사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나, 검사 비용과 검사 소요 시간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혈액은행 현장에서 아형을 감별하는 혈청학적 검사 중 흡착 및 해리 (Adsorption & Elution)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강조하는바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