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안덕문의 산수유람에 나타난 존현의식과 풍류를 「동유록」과 기행시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안덕문은 「三山圖」와「三山圖誌」로 유명한 은일처사이다. 이것을 벽에 걸어 놓고 三山人을 존숭하고 흠모하였다. 안덕문의 산수유람은 구도적 유람과 풍류적 유람으로 나닐 수 있다. 안덕문은 산수유람을 통해 은일처사 및 선경을 흠모하고 조화롭게 되고자 했다. 특히 「동유록」은 三山人추숭 작업과 남명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떠난 유람이었다. 물론 기타 영남 사럼에 대한 존현의식도 내재되어 있었다. 안덕문은 긴장된 유람과 함께 이완된 유람이 함께 나타나고 있었다. 아름다운 仙境에서 소요를 하며 그 즐거움을 시로 형상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즐거움은 혼자 한 게 아니라 同人과 함께 하고자 했다. 안덕문은 당대의 현인과 시를 주고받거나 담소를 나누며같이 유람을 즐기고 그 여흥도 함께 나누고자 하였다. 안덕문은 긴장과 이완된 유람을 적절히 활용하여 학문적 방편과 도구로 삼아 그 근원에 쉽게 다가가고자 하였다. 앞으로 기타 은일처사의 산수유람과 비교 분석을 통해 은일처사 산수유람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specting the wise,`` and taste for the arts, represented in the landscape sightseeing (Sansuyuram) of An Deok-Mun by focusing on travel poetry based on Dongyoo-rok. An Deok-Mun was a recluse who was famous for Samsando 「三山圖」 and Samsandoji 「三山圖誌」.An Deok-Mun adored these pictures by hanging them on the wall. ``Landscape Sightseeing(Sansuyuram), by An Deok-Mun is divided into two types; the tour for seeking the truth and the tour for enjoying tasteful arts. An Deok-Mun intended to be a recluse and adore fairyland through Sansuyuram. In particular, ``Dongyoo-rok`` is based on tour for worshiping Samsanin and establishing the status of Namrnyeong. It is certain that the consciousness for respecting Yeongnam Confucian Scholars were implied in his travel poetry. An Deok-Mun showed tension and relaxation in his travel poetry at the same time. He wandered around beautiful fairyland and made a poetic imagery for his pleasure. This kind of pleasure was to enjoy together with his coterie (circle members). He wanted to exchange poems, have a friendly talk, enjoy excursion, and share entertainment with sages of those days. An Deok-Mun tried to approach the source of tour by appropriately using the tension and relaxation, derived from the tour as an academic means or tool.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he travel poetry of An Deok-Mun and other poems of recluses who enjoyed landscape sightseeing will be conducive to identifying the nature of landscape sightseeing (Sansuyu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