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합리적 행동이론(TRA)과 기술수용이론 (TAM)을 기반으로, SMEs가 벤처지원정책을 수용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정부가 효율적 방법으로 정책 지원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며, 지속성의 관점에서 SMEs를 위한, 효율적인 벤처정책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Experience가 Ease of Use에 영향이 있었고, 둘째, EASE of Use가 Usefulness는 영향이 있지만, Intention to Use에 대하여 영향이 없었으며, 셋째, Usefulness가 Intention to Use 에 직접적 매우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 아니라, 다른 많은 변수를 매개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한편, 정책 수용 의지 (Intention to us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Output Quality가 Usefulness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정책수행의 결과가 선택하고 수행 할 때는 기업 입장에서 이해득실에 대한 많은 것을 고려 하고 있는 지극히 이성적으로 행동하는 기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construct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SMEs for VSPs and the efficiency of VSPs, based on the two theories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n the context of venture support program in Korea.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government’s venture support policy (VSP), namely the examination of the efficiency of current government VSPs in terms of preferential treatment for SMEs experiencing many other venture support programs (the EXP policy), and the reduction of documents/processes related to venture support programs for SMEs so that they are easily accessible and implementable (the EASE policy). Additionally, this paper will suggest an effective way to encourage SMEs to succeed by analyzing the fundamental reasons for their acceptance of VSPs to attain their long-term go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