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투르게네프의 세 번째 장편소설 『그 전야(前夜)』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서 투르게네프가 ‘행동하는 인간’의 유형으로 제시한 주인공 인사로프와 여주인공 엘레나의 영웅주의의 특성과, 이 영웅주의적 주인공 인사로프의 죽음을 통해 투르게네프가 드러내는 삶의 철학, 즉 이기적인 자연의 섭리를 거부하는 이타적인 인간의 파멸이라는 주제를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특히 이러한 삶의 철학을 보여주기 위해, 작가가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모티프인 물과 암시적 서사를 위해 곳곳에서 사용하는 서사도구인 꿈에 관한 텍스트 분석을 시도하여 『그 전야』에서 작가가 이타적인 영웅의 사랑과죽음의 주제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던지고 있으며, 또 이 주제를 어떻게 구성하면서 작품의 슬픈 서정을 만들어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논문의 제 2장에서 투르게네프의 작품세계의 개관을 통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자연의 힘에 관한 작가의 자연관을 살펴본 결과, 투르게네프는 자연이 자연계의 모든 개체로 하여금 이기적이며 구심적인 삶을 살기를 원하며, 이 자연법칙을 거부하고 이타적인 삶을 살아가는 개체들에게는 죽음을 가져다 주고야 만다고 이해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제 3장에서는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이라는 주제가 『그 전야』에서 물의 모피프와 꿈을 통한 서사를 통해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작품에 어떤 메시지를 남기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본 논문은 소설『그 전야』에서 투르게네프는 이타적인영웅의 찬가를 부르는 것이 아니라, 이타적인 영웅의 죽음에 대한 슬픈 애가를 부르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This study tries to elucidate on theme of the the love and death of the hero in Turgenev’s novel < On the Eve > focusing to Turgenev’s nature philosophy, which emphasizes the destruction of the altruistic hero opposing the law of the nature. This study finds that the basis of Turgenev’s concept of the nature is basically based on the Goethe whom he has respected from the time of the study on the philosophy in Berlin. This study also finds that for Turgenev the concept of nature and God, and mystical power of the fate could be counted as the same one. This study also traces the narrative fuction of the four motives related with the image of water, which are rain, river, Venice the city on the water, and the sea, finding out their strong relation to the subtextual narrative logic in the work. And this study also tries to trace the narrative device of the dream in the text of〈 On the Eve >, mainly one in the chapter 24, which is the dream of Insarov, and the other in the chapter 34, which is the dream of Elena just before the death of Insarov, the hero of this novel. This study maintains that among the Turgenev’s main novels < On the Eve > has the most concrete thematic structures on the theme of the death of a altruistic hero, which makes strong poetic mood in the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