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3.59.148.67
13.59.148.67
close menu
}
KCI 등재
도덕적 실행력으로서 협상 기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Negotiation skill as Moral Implementation
이인태 ( In Tae Lee )
초등도덕교육 51권 253-284(32pages)
UCI I410-ECN-0102-2016-370-000667801

도덕과 교육에서 협상은 “상충된 입장에 위치한 당사자들이 각자의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발생하는 갈등을 윤리적으로 해결하고, 공동의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이해관계를 조율해가면서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을 모색해가는 경쟁적이며 협력적인 과정”으로 규정될 수 있다. 특히 협상 기술이 ①상호간의 갈등해결능력 향상을 위하여 기존의 교과 교육에서 다루어왔던 의사결정 방식인 토의 및 (찬반)토론과 그 성격 및 목적이 다르다는 점,②문제를 폭력적인 방식으로 해결하는 투쟁이나 제3자의 개입을 전제하는 중재 및 조정과 달리, 스스로 그리고 윤리적인 방식으로 해결하는 능력이라는 점, ③상대방의 요구와 정서를 이해하고 나의정서를 조절하면서, 대안을 올바르게 표현하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도덕적 실행력의 실행 기술로 고려해볼만한 가치가 있다. 이에 협상이 진행될 때 따라야 할 원칙들과 협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안된 협상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도덕과 교육에서 협상교육의 모습을 제안하여 보았다.

Negotiation in moral education can be prescribed as "the competitive and cooperative process of ethically resolving conflict caused by opposing interests between parties, and searching for a best alternative plan which is agreed by everyone as coordinating interests for achieving common interests". Especially, negotiating skill is worthy to be considered as a implementation skill of moral implementation in terms of that ①it is different from the discussion and pro-con debate which were a way of decision-making in traditional subject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skill to solve mutual conflicts, in its character and purpose, ②unlike violent struggling for solution or mediation and arbitration with premise of a third party intervention, it is an ability to solve in an ethical way and by oneself, and ③it is an ability to express alternatives in an appropriate way as understanding other``s demand and feeling and regulating one``s emotion. This study suggests negotiation program in moral education, based on detailed contents and strategy of negotiation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a negotiation skill which people should follow in negoti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