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교육이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다문화가정 아동들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과 현 정부의 관련정책들을 살펴본 후무용교육이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하위요인들은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자신감, 자기주장, 그리고 불안감으로 구성하였다. 무용교육 사전과 사후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분석과 함께 실험집단의 아동들을 인터뷰하여 그 변화의 차이를 질적으로도 분석하였다.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4단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에서는 나와 타인과의 함께 교류하는 방법을 통해 사회성과 정체성을 갖게 하며, 2단계 는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체험함으로써 문화의 다양성과 차이성을 인식하고 수용하며 서로에 대한 신뢰와 존중의 의미를 알게 하는 것이다. 3단계 는 한국의 민속춤을 통해 교육적, 문화적, 예술적 실천으로 통합적 인지능력의 향상에 도움을 준다. 4단계는 직접적인 공연 참여 및 감상 그리고 체험학습을 통해서 학생들이 자신감을 회복하면서 문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나와 주변과의 관계개선을 돕도록 구성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자기비하의 빈도를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둘째,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또한 타인과의 관계와 자신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자기주장과 불안도 다소 개선되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치밀하게 잘 구성된 무용교육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자아존중감과 타문화에 대한 존중심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ance education on the self-esteem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Following the brief discussion on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the related government policies, I empirically tested the effect of dance education on some sub-factors of self-esteem. the sub-factors are self-degradation, relationship, self-confidence, self-assertion, and anxiety. Along with the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dance program, the change of the participated children is qualitatively analyzed trough the personal interview. The dance education programs are composed of four stages. At the first stage, the children are trained to enhance their sociality and identity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others. At the second stage, the program teaches the children to understand the variety and difference of various cultures and, thus, to respect other cultures. At the third stage, the Korean folk dance program is taught to enhance their recognition ability on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meaning of dance. And at the final stage,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ance performance through which they can enhance their cooperative spirit and self-esteem.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first, the dance program significantly lowered their self-degradation. Second, it also positively influences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and their self-confidence. The self-assertion and the anxiety are improved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vely, the test results imply that a carefully designed dance education can enhance the self-esteem and the respect for other culture of the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