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들어 대의민주주의의 대안으로 숙의민주주의가 제시되었다. 숙의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주어진 대안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들 스스로 합리적 대화를 통해 중요한 의제를 설정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공론장을 형성하는 것이다.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그 실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고 온라인 공간에서의 토론도 일상화되었다. 그동안 많은 학자들이 온라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토론이 숙의민주주의 실현에 기여하는지를 이론적 또는 경험적 측면에서 연구해왔다. 이 연구는 정보기술의 발전이 토론장을 만드는데 일조하였지만 진정으로 숙의가 이루어지는 공론장으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문제 보다 사람의 문제가 더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합리적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여러 사람이 모여 자기주장만 하거나 갑론을박을 하는 장으로서의 온라인 공간은 오히려 숙의민주주의에 해가 될 수도 있다. 결국 합리적 대화가 가능한 공론장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숙의 능력이 있는 사람을 길러내는 교육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토론 교육이 숙의에 필요한 합리적 대화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런 과정을 학습하도록 설계된 사회교육과 대학 강의를 통해 얻어진실험적 결과를 공유하려는 것이다. 강의를 통해 예비 교사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치 사회적 이슈에 대한 온라인 토론 학습을 학기 당 4차례 실시하였다. 최근 3년간의 온라인 토론 대화록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1차에서 4차 토론으로 갈수록 일방적 주장의 비율은 줄고 쌍방향적 대화 비중이 늘어났다. 대화의 유형 또한 찬반 논쟁 중심에서 합의나 대안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숙의에 필요한 합리적 대화 능력이 토론학습 경험을 통해 조금씩 길러진 것을 알 수 있다.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and its potential to build new type of public sphere has sparked a renewed interest in the concept of deliberative democracy. This paper attempts to test classroom experience for participating on-line public issue-centered discussion contributed to help students engaging critical thinking and abilities for qualitative deliberation. Based on data conducting a field experiment, it is empirically tested students who have more exposed to classroom discussion are more likely to engage two-way communication rather than one-way speaking. It is also tested students who have more exposed to classroom discussion are more likely to make an effort for suggesting alternatives to solve public problems. In short, participating on-line classroom discussion experience give students opportunity to learn the value of dialogue, mutual understanding, consensus, integra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evidences for the direct causal roles of classroom experience in shaping of civic attitude as well as improving skills and ability needed for participatory and deliberative democ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