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원유로부터 면역증진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odified MRS 분별배지를 사용하여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를 대상으로 면역활성이 높은 균주를 선발한 결과, D205 균주가 최종선발되었다. D205 균주는 IL-1α, TNF-α, NO 값이 각각 2,500pg 이상/mL, 2,000 pg 이상/mL, 11.55±2.95 μM로 나타났으며, 동정결과 Lactobacillus fermentum으로 판명되었고, Lactobacillus fermentum 450으로 명명하였다. Lactobacillus fermentum 450의 최적 생장 온도는 40℃이었으며, 답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내었다. 효소활성은leucine arylamidase와 acid phosphatase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kanamycin, neomycin, polymyxin B에 내성이 있는 반면 novobiocin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63.86%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으나,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는 항균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림기술개발사업(No. 107074-3)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fermentum 450 isolated from raw milk. L. fermentum 450 showed optimum growth at 40℃ and exhibited immunomodulatory effects on interleukin-1α, tumor necrosis factor-α, and nitrous oxide at concentrations of >2,500 pg/mL, >2,000 pg/mL, and 11.55±2.95 μM, respectively. Of the 16 antibiotics tested, L. fermentum 450 exhibited the highest sensitivity to rifampicin, followed by penicillin-G, and the highest resistance to kanamycin, followed by neomycin and polymyxin B. The strain showed high acid phosphatase activity and was comparatively tolerant to bile juice and acid. Moreover, the strain displayed high resistance to Salmonella Typhimurium (63.86%).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L. fermentum 450 has potential for use as a probiotic with immunomodulatory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