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는 지형, 지질 그리고 토층조건 등 내적인 요인과 강우침투로 인한 전단응력증가, 지하수위 변동 등 외적인 요인에 의해 파괴가 발생된다. 특히 우기철 강우가 침투하여 간극수압 및 지반함수비가 증가되어 전단강도가 감소하게 되면서 산사태가 발생되는 것이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다. 산사태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발생특성을 정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으나 현장에서 파악하기에는 제약이 많을뿐더러 어려움이 있음이 사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인자들을 변화시키면서 발생특성을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는 실내모형토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제작된 모형토조장치를 소개하고자 한다. 모형토조장치는 그림1과 같이 크게 모형토조, 계측장치, 강우재현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모형토조 내 침투되지 못하고 유출되는 강우를 수집하는 유출량 측정수조가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유출량 측정 수조는 길이 4m, 폭 0.5m, 높이 1m로 총 2ton의 물의 적재할 수 있으며, 비침투된강우를 수집하기 위하여 선단부 앞 쪽에 고강도 체를 설치하여 최소한의 세립분만 수조로 빠져나가도록 하였다. 또한 정상부에 리프트를 결합하여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0-50°까지 용이하게 경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모형토조 내 충분한 인공강우가 살수될 수 있도록 4m 높이에 살수장치를 설치하였고, 5m 길이의 레일을 만들어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그리고 모터의 회전운동을 진자운동으로 변환하는 인공강우장치를 사용하여 자연강우와 근접한 강우 입자 크기로 살수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계측장치는 강우침투로 인한 모관흡수력과 체적함수비를 측정하는 Tensiometer와 5TE센서를 설치하였고 사면 붕괴시 사면 내 간극수압을 측정하는 간극수압계를 설치하였다. 계측기 설치 위치는 사면부 하단으로부터 10cm, 75cm,140cm 바닥면에 1set 설치하고 바닥으로부터 20cm, 40cm의 높이에 2set 설치함으로써 강우시침투로 인한 습윤전선의 발생 및 하강속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출량 측정수조 내 자동 수위측정센서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유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모형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지반특성변화 뿐만 아니라 토조 내 강우침투와 유출되는 현상을 정확히 파악하여 사후 산사태를 예측하기 위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