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열히트펌프 운영에 따른 지하수의 특성 변화를 파악하고 평가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원도 원주시 상지대학교의 지열히트펌프는 개방형 지열시스템으로, 지하수를 직접 열교환유체로 용하며 지하수의 채수와 재주입을 한 관정에서 실시하는 수주지열정 방식을 이용하고있다. 충청북도 괴산군 중원대학교의 지열히트펌프는 밀폐형 지열시스템으로, 지하수가 아닌 다른 유체를 지하에 수직으로 매설된 밀폐된 관을 따라 흐르게 하여 열교환을 실시하고 있다. 지하수위와 지하수온 자료는 약 3년 동안 개방형 지열시스템에서 실제 이용 중인 지열공과밀폐형 지열시스템의 지열공에서 약 3.5 m 떨어진 관측공에서 획득하였고, 기온과 강수량 자료는 원주 기상대와 괴산과 가장 가까운 충주기상대의 기상자료에서 획득하였다. 획득한 지하수위, 지하수온, 기온, 강수량 자료를 시계열 자료로 이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자기상관분석, 교차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상관분석을 통해 한 자료가 두 시점에서 갖는 상호연관성을 분석할 수 있고, 교차상관분석을 통해 두 자료의 상호연관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 시간 단위로 획득된 자료로 상관분석을 실시할 경우 그래프의 변동이 매우 심하여 분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평균 자료로 상관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산술, 기하, 조화평균을 취한자료로 자기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가장 적절한 대푯값을 설정하였다. 현장수질측정을 통해 수온, 수소이온농도(pH), 전기전도도(EC), 산화환원전위(ORP), 용존산소(DO)의 자료를 획득하여 장기간의 현장수질 변화를 분석하였고, 채취한 지하수를 여과하여 주요 양·음이온 분석을 실시하여 지하수의 화학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개방형 지열시스템은 열교환 유체로 지하수를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수위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밀폐형 지열시스템은 비교적 외부요인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현장수질측정과 이온분석결과, 두 지역 모두 일반적인 지하수의 수질 특성을 보였으며, 특히 밀폐형 지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괴산 중원대학교에 조성된 골프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과 비료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개방형, 밀폐형 지열시스템 모두 적절히 관리하여 운영한다면 지하수의 특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추가적인 연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