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전환학년제(Transition Year)는 직업체험을 포함하여 다양한 교육 활동으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권장하고 성숙을 목적으로 하는 체험 중심의 1년 단위 중등 교육프로그램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아일랜드 전환학년제에 대한 많은 연구와 정책적 고려가 진행되고 있지만, 주로 진로교육의 대안이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아일랜드 전환학년제를 인성교육적 측면에서 교육적 효과, 장·단점 등을 파막해 우리나라 인성교육의 방향과 적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1 년 간 다양한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자아 개념 확립과 잠재력 계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동체 및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고,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켜 교육의 본질적 기능을 회복하는데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는 입시 위주의 교육을 탈피해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인성교육의 체계적 근간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된다.
In Korea, small and big recent social problems are attributed to lack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solution of these problems is being sought in personality educ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Ireland`s Transition Year Program in the aspect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investigates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in Korea. Ireland`s Transition Year is an experience-centered 1-year unit secondary education program that aims to encourag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job experience and promote students` maturation. Currently in Korea, there are numerous researches and policy considerations underway on Ireland`s Transition Year, but they are approached mainly as an alternative to career education. Transition Year Program is an educational approach focusing not on raising grades but on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and potential, and by providing positive attitude toward students themselves and developing confidence and sociality, it enables holistic growth. Also, by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students encourages holistic growth, it provides grounds for the systematic base of personalit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