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동맥류는 동맥 혈관의 내막과 중막에 국한되는 혈관 손상에 기인한다. 외상 혹은 의인성 손상에 의하여 발생할 수도 있으며 수술적 문합술 후에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은 매우 서서히 진행하고 지연 생성 가능성이 높아 외상 초기부터 가성동맥류의 가능성에 대하여 의심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서 우리는 원위 대퇴골 과상부 골절의 보존적치료 11개월 후 발생한 슬와동맥의 거대 가성동맥류를 보고하며 이를 통하여 원위 대퇴골 골절 후 혈관의 지연 손상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A pseudoaneurysm is a contained arterial disruption in the intimal and medial layers of an arterial wall. It may originate from a perforation caused by traumatic or iatrogenic injury or the dehiscence of a surgical anastomosis. Because of its insidious onset and delayed presentation, orthopaedic surgeons should b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such a lesion after an initial trauma. We report on a case of a delayed huge pseudoaneurysm of the popliteal artery that occurred 11 months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of a supracondylar fracture of the femur in order to keep in mind the possibility of the delayed presentation of vascular injury after a distal femur fra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