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자아일치성(self-congruity)은 “비실용 대상 포지셔닝(Non-utilitarian destination positioning)” 이론에 근거한 것으로,소비자들이 의사결정을 하거나 행동을 할 때 대상(제품, 서비스 등)과 자신의가치를 일치시키려는 성향을 의미한다. 반면, 기능일치성(functional congruity)은 대상(장소, 제품,서비스)의 실용적 가치에 자신의 의사결정이나 행동을 일치시키려는 성향을 의미한다. 최근 모바일기반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들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개인적 경험을 언제 어디서나 공유하게 되면서 온라인 구전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기회가 많아지고 활발해지고 있다. 한편, 자기해석(self-construal)은 마케팅 및 현대 심리학에서 그동안 많이 다루어져 온 주제이다. 본 연구는 자아일치성 및 기능일치성과 중국 관광객의 긍정적인 온라인 구전 간의 관계와 자기해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설계/방법론/접근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32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모든 항목은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중국 설문조사 전문 웹사이트인 sojump.com에서 한국을 방문한적이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0.0과 AMOS 18.0을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전반적인 모형의 적합도, 신뢰도, 타당성 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bias) 여부도 함께 진단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자아일치성과 기능일치성은 온라인 구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일치성이 온라인 구전에 미치는 효과는 독립적인 자기해석 성향이 있는 중국 관광객이 의존적인 자기해석 성향이 있는 중국 관광객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기능일치성이 온라인 구전에 미치는 효과는 의존적인 자기해석 성향이 있는 중국 관광객이 독립적인 자기해석성향이 있는 중국 관광객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Self-congruity deals with the effect of symbolic value-expressive attributes on consumer decision and behavior, which i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non-utilitarian destination positioning”. Functional congruity refers to utilitarian evaluation of a product or service by consumers. In addition, recent years, social network services, especially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s have created many opportunities for e-WOM communication that enables consumers to share personal consumption related information anywhere at any time. Moreover, self-construal is a hot and popular topic that has been discussed in the field of modem psychology as well as in marketing are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stru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gruity, functional congruity and tourists’ positive electronic word of mouth (e-WOM).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with 32 survey items. We measured all the items on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We used Sojump.com to collect questionnaire and gathered 218 responses from whom have visited Korea before. After a pilot test, we analyzed the main survey data by using SPSS 20.0 and AMOS 18.0, and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hypotheses. We first estimated the measurement model for its overall fit,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used common method bias test to make sure that whether measures are affected by common-method variance. Then we tested the hypotheses through the structural model and used regression analysis to measur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strual. Finding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effect of self-congruity on tourists’ positive e-WOM is stronger for tourists with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compared with those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Moreover, it shows that the effect of functional congruity on tourists’ positive e-WOM becomes salient when tourists’ self-construal is primed to be interdependent rather than independent.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academic and practical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