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를 비롯한 전국에서 발효식품 44점으로부터 유해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이 우수한 고초균주를 분리 및 동정 하였으며, 생육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던 Bacillus amyloliquefaciens MBE1283로 명명된 균주의 유해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 전분분해 효소활성 및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Escherichia coli O157:H7 KCCM40406을 비롯한 8종류의 유해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 막걸리에서 분리된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는 다른 B. amyloliquefaciens 균주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유해균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의 α-amylase 효소활성은 대조구 균주들과 비교하였을 때 현저히 낮았으나 glucoamylase 효소활성은 대조구로 사용한 균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의 최적 생육온도는 45oC로서 대조구 균주보다 온도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균체 성장에 적합한 최적 배지는 pH 6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는 여러 종류의 유해균에 항균활성을 지니며 높은 온도와 낮은 pH에 대하여 내성을 지닌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resence of bacterial strains showing antagonistic activity to common pathogens found in a variety of fermented foods in Korea was explored. A bacterium inhibiting the growth of pathogens such as Aspergillus terreus (KCTC6178), A. flavus (KCTC6984), Staphylococcus aureus (KCCM12214), Escherichia coli O157:H7 (KCCM40406), Bacillus cereus (KCTC1012), Cryptococcus neoformans (ATCC208821), Salmonella typhimurium (ATCC19430), and Listeria monocytogenes (KCTC3569) was isolated from Makgeolli,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The strain showing high antipathogenic activity was identified as B. amyloliquefaciens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16S ribosomal RNA gene. Compared with B. amyloliquefaciens KCTC1660, whose genome has been sequenced, the isolate exhibited significantly low activities of starch-degrading enzymes and high resistance to high temperature and low 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