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0.253.240
3.140.253.240
close menu
}
KCI 등재
청소년의 개인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on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석말숙 ( Mal Sook Suk ) , 구용근 ( Yong Geun Ku )
DOI 10.19034/KAYW.2016.18.1.03
UCI I410-ECN-0102-2016-330-000682477

본 연구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개인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에 대하여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11개 자치구에서 자치구당 1개의 중학교를 임의표본추출방법으로 표집하였으며, 청소년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1학년 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자가 조사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 참여와 추후 자료 활용에 동의한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한 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791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피어슨 적률상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성별, 학업성적, 주관적 경제수준 등에 따라 각 집단 간의 평균 차이가 각각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개인요인, 가족요인, 학교요 인은 요인 상호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스마트폰 중독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개인요인 중 하위요소인 자기통제력, 가족요인 중 하위요소인 부모지지와 해결지향형 의사소통, 개인요인의 하위요소인 자아존중감 순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실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방안으로 텃밭 가꾸기, 산책하기, 적당한 운동하기 등 신체 활동을 통한 자기통제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자는 나날이 심각해가는 스마트폰 중독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중독집단을 연구대상에 포함시킬 것과 지역사회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추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how factors such as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influence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791 teenagers living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Primar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actors like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financial level affecting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created meaningful differences. Secondly, there was (+) correlation among factors such as personal, family and school, whereas smart-phone addiction had (-) correlation with personal, family and school. Lastly, their capabilities to control themselves indicated the most negative influential factor on teenagers`` smart-phone addition was self-regulation, the second most negative factors were parents`` support and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and the third most negative factor was self-respect. Three ways to overcome teenagers`` smart-phone addiction are discussed: building a small garden to grow vegetables and herbs, doing physical exercise to keep healthy, and playing a game in a team. The policy and the method to prevent their smart-phone addiction are discussed, as well.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