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세의 임산부에서 혈구형 검사와 혈청형 검사 결과의 불일치로 인하여 A혈행형의 아형을 의심하여 흡착 해리 시험, 타액 응집 억제 시험 및 혈액형 전이 효소 검사를 실시하여 Ael형을 증명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