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5.166.160
3.145.166.160
close menu
}
KCI 등재
모바일 메신저 앱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동기, 참여, 지각된 가치, 만족도,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대학 강의를 중심으로
A Structur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Students` Motivation, Engagement,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Course Loyalty to Mobile Messenger Apps for Educational Use -Focused on College Courses
정한호 ( Han Ho Jeong )
DOI 10.15833/KAFEIAM.22.1.137
UCI I410-ECN-0102-2016-370-000686502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대학생의 동기, 참여, 지각된 가치, 만족도 등이 강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메신저 앱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강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도출하고 각 변인들(동기, 참여, 지각된 가치, 만족감, 충성도) 간의 관계성에 대한 최적의 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용적 동기, 사회적 동기, 유희적 동기 등 세 가지 동기유형을 외생변인,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를 매개변인, 기능적 참여, 정서적 참여, 공감적 참여 등 세 가지 참여 유형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대학 강의에 대한 충성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모바일 메신저 앱을 활용하여 오프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 39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모형의 적합도 검증 및 강의 충성도에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MO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오프라인 대학 강의에서 활용되는 모바일 메신저 앱에 대한 학생들의 충성도를 예측할 수 있는 최종모형을 제시하였다. 최종모형을 통해, 만족도, 실용적 동기, 기능적 참여 등이 강의 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동기, 유희적 동기, 정서적 참여, 공감적 참여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용적 동기와 충성도는 직.간접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대학 강의 수강을 위한 모바일 메신저 앱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motivation, engagement,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n students’ loyalty to use mobile messenger apps for their learning use. To examine the impa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loyalty to to use mobile messenger apps. And, we proposed an optimum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engagement,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is study, utilitarian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and hedonic motivation were adopted as exogenous variable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were adopted as exogenous variables. Also, functional engagement, emotional engagement, and communal engagement were adopted as moderating variables, and students’ loyalty to their online courses was adopt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taking mobile messenger apps based off-line courses. 398 students(male 187, female 211) participat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Amos 20.0 was used for data analysis. From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we proposed a ultimate model to predict the students’ loyalty to continue using mobile messenger apps for learning within off-line courses. The findings showed that satisfaction, utilitarian motivation, and functional engagement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students’ loyalty and yet, no significant influence was discovered from the social motivation, hedonic motivation, emotional engagement, or communal engagement. Especially, directly or indirectly, there was high relationship between utilitarian motivation and students’ loyalty. This study produced additional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use of mobile messenger apps for educational purpose in university courses.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