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근로 시장에서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 계획,임신,출산,육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직접,간접차별 경험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working mothers in labor market: Focusing on direct and indirect discrimination experience
공정원 ( Jung Won Kong ) , 엄명용 ( Myung Yong Um )
한국가족복지학 51권 149-186(38pages)
UCI I410-ECN-0102-2016-330-000685978

이 연구의 목적은 근로 시장에서 기혼 직장여성의 임신, 출산, 육아 경험을 둘러싼 차별의 이슈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직군의 기혼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다중 사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각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 주제들을 5개의 핵심 범주와 16개의 하위 범주로요약하였다. 5개의 핵심 범주는 ``예기치 않은 상황과 맞닥뜨림``, ``직접 차별: 막힘``, ``간접 차별: 밀려 나가기``, ``필요를 빗겨가는 모성 보호 및 지원 정책``, ``생존과 돌봄 사이의 외로운 전투``이었다. 기혼 직장여성들이 임신, 출산, 육아로 인해 근로 시장에서 경험한 직접·간접차별은 임신 중 야근 강요, 비자발적 타부서 이동, 낮은 직무 평가, 진급 누락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별경험은 기혼 직장여성이 출산을 조절하거나 근로 시장 일탈을 가속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근로 시장에서 임신, 출산, 육아와 관련하여 기혼 직장여성의 차별의 문제를 극복하고 기혼 직장여성의 근로 시장 존속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정책적,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maternal experience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in terms of direct and indirect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 To attain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working mothers from a variety of occupational setting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s a result, five core categories and 16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five core categories included ``in the facing of unexpected circumstances``, ``direct discrimination: being blocked``, ``indirect discrimination: getting behind``, ``lack of protective and supportive policy for working mothers at labor market``, ``lonely battle to perform dual roles between a worker and a mother``. We discussed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issues based on the findings to reduce such discriminations for working mothers in labor market as well as to support job continuity for them.

1. 서론
2. 선행 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