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Accredited
행복은 성적 순이 아니잖아요?: "학력(학벌)"의 비경제적 효과 추정
Can Academic Credentials Determine Life Satisfaction?: The Estimates on the Non-monetary Effects of Academic Credentials
김영철 ( Young Chul Kim )
경제학연구 vol. 64 iss. 1 107-150(44pages)
UCI I410-ECN-0102-2016-320-000684402

우리나라의 과도한 입시경쟁의 이면에는 유수 대학 입학이 가져오는 ‘학벌’ 효과가 기저에 존재한다. 이제까지의 관련 연구들은 출신대학의 서열에 따른 경제적 보상의 차이 즉 ‘임금 프리미엄’을 추정하는데 집중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학력 및 출신대학의 서열에 따른 비경제적 효과를 추정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조사(KLIPS) 자료를 활용하여 학력수준(7단계) 변수를 구성하고, 만족도와 차별 경험 관련 응답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생활 및 현재의 일자리에 대해 만족할 확률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취업, 승진, 사회생활에서의 차별적 처우 ‘인지’의 차이로도 뒷받침되었다. 학력(학벌)에 따른 이러한 비경제적 효과는 소득과 종사상 지위 등 경제적 변수를 통제하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The excessive hierarchy of colleges has generated the overheated competition for college entrance in South Korea. Many preceding studies discussed the effect of academic credentials on the labor market such as wage premium for graduates from prestigious universities, but few have conducted comprehensive research embracing their non-monetary effects.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dataset, this study finds strong positive effects of academic backgrounds on both overall life and workplace satisfaction levels. The satisfaction effects are supported by the different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promotion and general social life according to different educational backgrounds. We also find that the effec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one’s income and job type.

Ⅰ. 서 론
Ⅱ. 변수의 구성 및 설명
Ⅲ. 학력수준별 만족률 효과 분석
Ⅳ. 차별적 처우 인지 관련 분석
Ⅴ. 결 론
■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