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신장과 인성 함양에 관한 문제는 교육활동의 본질과 핵심을 규정하는 힘을 갖는다. 한국교육사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유학사상의 추이를 중심으로 창의·인성에 관한 여러 논점을 확보할 수 있다. 과거제도는 조선시대 유생들에게 시험 중심과 경쟁 위주의 삶을 부추겨왔다. 과거제도의 지휘봉효과로 인해 유교문화권의 교육에서 창의성은 잠식될 수밖에 없었고 인성 또한 제대로 함양되기 어려웠다. 창의·인성이야말로 수험유교의 질곡으로부터 자유로운 자들이 추구할 수 있는 가르침과 배움의 중심 주제라고 말할 수 있다. 예컨대 이순신의 무과급제, 거북선 창작과 이를 통한 해전의 승리, 그리고 전장에서 보인 리더십은 지휘봉효과에 휘둘리지 않았던 그의 선택과 결단의 산물이기도 했다. 특히 이순신에 관한 창의·인성의 거론방식에는 공동체-국가 차원의 과제가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오늘날의 창의·인성에 대한 거론방식이 개인-가족 차원의 욕망에 머무는 경우와 대조적이다. 이순신의 사례처럼 당대를 의미심장하게 살았던 인물에 대한 탐구를 통해, 앎과 삶의 본연과 창의·인성의 가치를 성찰하는 작업은 창의·인성교육의 지평 확대를 위해서도 의미 있는 일이다.
Improving our creativity and cultivation of character define core and essence of educational activities. We can secure many points about creativity and character with Confucian thought in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s had been immersed in the people of Chosun Dynasty only test and competition. The batton effect of civil service examinations cannot help encroaching creativity of Confucian cultural area and it is also hard to cultivate moral character. Confucian scholars who are free from the trap of Confucianism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s considered creativity and moral character with a core subject of teaching and learning. Yi Soon-Sin was not swayed by batton effect and it was the result of his choice and decision such as his passing an military service examinations, naval victory with the creative battleship Geobookseon, and his leadership in the battlefield. Especially, we can check the way of mentioning his creativity and character deeply related to community and nation. It shows that the debate on creativity and character of these days stricking contrast with the trapped selfishness and greed of individuals or families. Through character researching like Yi Soon-Sin who had a profound significance, the process on review of creativity and character is a meaningful discussion for prospect expansion of its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