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6.133.136
18.226.133.136
close menu
}
조선시대 선인들이 바라본 지리산 유람 장소의 경관적 해석
Landscape Interpretatioin of Mt. Jiri Traveling Place viewed from People in Joseon
( Chang Hun Lee ) , ( Jong Sung Lee )
UCI I410-ECN-0102-2016-520-000691081

경관은 일상적인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관에 대해 한마디로 정의하거나 설명하기에는 그 의미해석이 다의적이고 모호하다. 이는 경관과 관련하여 학제간에 서로 다른 시각에서 재해석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관에 대한 학제간의 인식의 폭을 좁히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단순히 보고 즐기는 유람의 차원을 넘어서 작정자 삶의 의미와 본질을 느끼게 하는 함축적인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시각에서 조선시대 선인(先人)들이 지리산 유람을 다녀와 작성된 기록을 중심으로 출현하는 장소에 대한 실제적 조망 경관에 대한 부분의 의미들을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말하고자하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산을 오르는 동기와 행위에서 조선시대의 유람과 현대인들의 등반이 분명하게 비교되는 부분은 정신수양에 비중을 두는 형태가 반영된 것이라 해석이 가능하였다. 과거의 사람들이 유람과정에 담고 있는 장소에서의 사회적관계, 정체성, 상징성 등의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인들에게는 통시대적인 문화화 과정 속에 담겨진 지리산을 오르는 의미를 살펴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둘째, 유람록에 나타난 장소의 출현 빈도분석에서는 기록된 내용을 유람도중에 인상 깊은 기억에 대한 표현방법으로 보았을 때, 그 표현이 천왕봉 일원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지리산 천왕봉은 한반도 내륙에서 가장 높은 정상으로 지리산을 오르는 선인들에게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는 장소인 것이다. 셋째, 31개의 유람록 중에서 10개 이상의 장소에서의 경관묘사를 기록한 6개의 유람록은 지리산 관련 경관분석 및 지리정보를 연구하는 분야에서 접목이 가능한 유람록으로 잠재가능성을 보였다.

Though landscaping is used as ordinary term, it is polysemantic or ambiguous to define or explain in a word. This is thought to be mainly due to interpretation on landscaping from mutually different viewpoint in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herefore, this study is laid on contemplation of significance of part in practical view on landscape about the places emerging centrally in the records written by ancestors after touring around Mt, Jiri during Chosun Dynasty from the viewpoint that landscape connotes implicative symbolism making the writers feel meaning and essence of life beyond the dimension of simply seeing and enjoying in order to provide opportunity of narrowing width of interdisciplinary cognition and understanding. First, the part which is clearly compared between touring during Chosun Dynasty period and mountain climbing by contemporary people can be interpreted to have reflected by the form that puts weight on mental culture in motive and act for climbing Mt. Jiri. It is necessary to have a view to examine meaning of climbing Mr. Jiri contained in the contemporary culture and process of contemporary people based on understanding of social relation, identity and symbolism in those places containing in the process of touring of the people in the past. Second, considering the described contents as the method of expression about the impressive memory during touring, its expression intensively appeared about Cheon Wang Bong Peak area in the analysis of appearance frequency of places in tour records. Cheon Wang Bong Peak of Mr. Jiri is the highest summit at inland of Korea Peninsula, which is a place possessed of symbolic significance to those who climb Mt. Jiri. Third, 6 of 31 tour records that recorded description of landscapes about more than 10 places showed potentiality of tour records that can graft in the area of analysis of landscapes related to Mt. Jiri and studies on geographic inform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