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7.166.244
3.137.166.244
close menu
}
KCI 등재
현대시 감상 활동 구성에서 팟캐스트의 효용 고찰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Utility of Podcast in Modern Poetry Education ―Focused on analysing "Time to Read Books by Kim Young-ha"
진가연 ( Kayeon Jin )
UCI I410-ECN-0102-2016-710-000690637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팟캐스트는 실제적으로 적용될 만한 텍스트 자료이다. 본 연구는 팟캐스트를 통한 대화 양상의 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한 교육적 활용 방안 구안을 위해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을 분석하였다. 팟캐스트를 통한 소통은 구술 시대와 문자 시대의 특성이 잔존해 있는 반(半)대면적 소통 양상을 띤다는 점에서 기존 현대시 교육 논의에서의 ``내적 대화``와 조응된다. 또한 감상 내용 구성 과정이 상세히 드러난다는 점, 진행자의 낭독은 감상 결과의 또 다른 표현 방식으로서 독자가 문학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과정을 체험하게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성으로 볼 때 현대시 교육에서 팟캐스트는 감상 텍스트의 구술적 표현 도구로서, 감상의 표현을 위한 연행적 체험 활동과 감상의 메타적 조정 활동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odcast is useful educational text material for future smart education environments. This study deduces features of communication through Podcast by analysing ``Time to Read Books by Kim Young-ha`` and drew up plans of educational application. First, communication through podcast is characterized semi facial relationship that is residue between the period of the spoken word and written word. This point is related to discussion of inner-dialog in modern poetry education. Second, it exposed the process of the readers` appreciation in detail. Finally the recitation of Kim, as the expression of appreciation, leads the readers to experience the communication process through mediated literature. From this discussion, podcast in modern poetry education is oral expression tool for appreciation text and enables the readers to have performing experience and meta-modification activities.

Ⅰ. 서론
Ⅱ. 소통 매체로서의 팟캐스트
Ⅲ. 팟캐스트의 문학 소통적 맥락: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 분석
Ⅳ. 현대시 감상 활동 구성에서 팟캐스트의 효용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